[길섶에서] 보복 소비/문소영 논설실장

[길섶에서] 보복 소비/문소영 논설실장

문소영 기자
입력 2021-01-10 17:16
수정 2021-01-11 01: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6~7년간 소비를 최소화했다. 취재기자들은 회사 사무실보다는 외근이 일상이라 출입처로 출근하는데 그때는 출입처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 차원에서 입성을 신경 썼다. 국회의원들이 자신을 1인 헌법기관이라고 부르듯이, 기자들도 언론사의 1인 대표라고 부르니 소속 회사에 대한 이미지 제고 차원에서라도 허투루 하고 다닐 수 없었다.

그러다 2013년 5월에 ‘뒷방 늙은이’라 부르는 내근이 기본인 논설위원에 발령받은 뒤 대충 차리고 다녔다. 이미 나이도 40대 후반, ‘누가 나를 눈여겨보겠느냐’는 뻔뻔한 할머니 마음이 고개를 쳐들었다. 옷장 가득 옷을 채워 놓고 맨날 입는 옷은 검정 바지, 검정 재킷, 검정 신발. 누가 보면 매일 문상 가는 사람의 복장이었다. 물론 문상하는 마음으로 검정 옷을 입고 다니던 시절도 있었다.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피한다는 명분으로 모임 약속도 깨고, 여행도 못 가고, 친구도 못 만나는 일이 길어지자, 개선된 온라인지불시스템 덕분에 폭풍구매를 하고 있다. 영국의 어느 의류브랜드 하나를 옷장으로 옮기는 중이다. 왜 이리 겨울세일은 긴 것인가, 한탄도 소용없다. 코로나19 보복 소비라며, 해명을 늘어놓으려는 뻔뻔한 마음아! 얼마 전에 미니멀리즘을 구가하겠다던 약조는 어쨌냐.

2021-01-1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