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소나기 단상/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소나기 단상/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1-08-01 20:34
수정 2021-08-02 01: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폭염이 연일 기승을 부리는 여름의 한복판에 서 있다. 채소와 과일마저 타들어 갈 정도로 기세가 등등하다. 여름날 흔했던 소나기도 요즘엔 뜸하다.

소나기는 ‘갑자기 세차게 쏟아지다가 곧 그치는 비’라는 의미다. 한바탕 소나기라도 내려야 잠시나마 무더위를 잊을 법하다.

소나기의 어원을 찾다보니 민간에서 회자되는 이야기가 널리 퍼져 있다.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는 여름날, 천수답으로 먹고사는 시골 농부 두 사람이 ‘언제 비가 올 것이냐’를 놓고 말싸움이 붙었다. 옥신각신하다 급기야 가장 귀한 소를 놓고 내기에 돌입했고 이 와중에 내린 세찬 비를 ‘소내기’로 불렀다고 한다. 한자어 ‘속락우’(速落雨)가 변했다는 설이나 ‘천둥’을 뜻하는 함경 방언 ‘소낙’에서 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의견이 분분하지만 학계에서는 ‘소나기’의 15세기 어형이 ‘쇠나기’였다는 데 주목한다. ‘쇠’는 ‘매우, 몹시, 심히’라는 뜻이고 ‘나기’는 동사 ‘나다’(出)에서 유래된 파생명사라는 것이다. 비와 연결된 쇠나기가 소나기로 정착됐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번 주 지긋지긋한 폭염을 달래 주는 비 소식이 있다. 옷이 젖더라도 한바탕 소나기를 온몸으로 맞으며 더위에 지친 심신을 달래 볼 생각이다.

2021-08-0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