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여름 벌판/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여름 벌판/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1-08-05 20:40
수정 2021-08-06 0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눈이 부셔 뜰 수가 없다. 지난겨울의 황량한 들판은 폭발할 것처럼 무성하게 자란 벼들로 넘실댄다. 하늘과 숲에서도 느낄 수 없었던 초록의 절정.

벌레가 잎을 갉아먹듯 아파트들은 서울에서 먼 쪽의 논바닥을 점점 파먹어 들어간다. 벼가 자라는 들판을 만나려면 차를 타고 한참을 나가야 한다.

장미의 붉음이 황홀하다 한들 깊고 넓은 저 초록의 심해에 견줄 수 있을까.

그냥 씨를 뿌려 놓는다고 짙은 녹색의 결실이 생길 리 없다.

서 있기만 해도 속곳까지 젖는 더위 속에서 농부는 굵은 땀을 흘리며 벌판을 가꾸었다. 땀은 방울방울 떨어져 자라나는 벼들의 거름이 됐으리라.

농부의 힘만으로 옹골찬 열매를 얻을 수 없다. 때맞춰 쬐어 주고 퍼부어 주고 불어 주는 태양과 비와 바람이 없다면 곡식이 제대로 영글지 않을 것이다.

인간과 자연이 힘을 합쳐 만들어 낸 걸작이 경이롭기만 하다. 어떤 창조물을 이보다 훌륭하다고 할 수 있을까.

한쪽에서는 벌써 여물어 가는 벼가 고개를 내밀고 있다.

올가을 햅쌀은 단지 배를 채우는 것 이상의 깊은 뜻을 되새기며 먹을 것 같다. 인간의 땀방울과 자연의 섭리가 만들어 낸 결과물이라는.
2021-08-0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