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시월의 값/황수정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시월의 값/황수정 수석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22-10-17 22:00
수정 2022-10-17 2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흥부 놀부 이야기를 들려주자 했을까. 유치원 담벼락에 박넝쿨이 넌출넌출 진을 친다. 시월 소슬한 밤에 고개 뻗댄 박꽃이 어찌나 대견한지. 공연히 골목길을 챙겨 걷는다.

속이 덜 쇤 박을 찾아 마음 바빴던 때가 이즈막이다. 속살 보드라운 것을 용케 따온 저녁이면 참기름에 박나물 들볶이는 냄새가 대문 밖까지 진동했다. 끝물의 쌉싸래한 맛이 어린 숟가락에도 꼬숩게 감기던 시월의 저녁 밥상.

잘 여문 박은 속을 파서 무쇠솥에 한참 삶으면 바가지가 됐다. 뜨거운 솥에서 물러지지 않고 딴딴해지는 박바가지는 아이러니였고 마법이었다. 뜨겁게 견디는 일은 단단해지는 일. 박 속을 숟가락으로 긁으면 달밤에 박꽃 터지던 소리. 듣기 싫은 잔소리를 왜 바가지 긁는다며 애먼 바가지를 타박하는지.

인터넷에서 박바가지를 팔고 있다. 단돈 삼천원 시시한 값에.

무슨 수로 삼천원에 데려올까. 아무리 퍼마셔도 꼬숩고 단단하게 퍼올려지던 조롱박의 시월 밤을.

2022-10-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