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지적질 습관/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지적질 습관/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22-11-08 20:14
수정 2022-11-09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친구와 얘기하다가 “웬 지적질?”이란 대꾸에 당황한 적이 있다. 나도 모르게 “그렇게 생각하면 안 돼”라고 말하자 그 친구가 받아친 것이다. 농담투의 대꾸였지만 아차 싶었다. 그저 ‘난 이렇게 생각해’라고 하면 될 걸 굳이 그 친구의 생각을 평가해 버렸기 때문이다.

누군가와 대화하다 보면 나도 은근히 혼나는 기분이 들 때가 있다. 자신의 기준이 너무 뚜렷해선지 거기서 벗어나는 의견에 대해 일일이 ‘지적’을 하는 상대가 그렇다. 어떤 의견을 말했을 때 좋다고 하면서도 꼭 뭔가를 보태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나이 들면서 한 가지 다짐을 했다. 은퇴 후엔 지적질을 하지 말자는 각오다. 얼마 전 지인에게 “누군가를 가르치거나 비판하는 직업을 가진 이들 중에 지적질 습관이 있는 사람이 많다”는 말을 들었다. 나도 30년 기자 생활을 했으니 그중 하나일지도 모르겠다. 은퇴 후 지적질하는 ‘꼰대’를 누가 받아 줄까. 각오를 다시 한번 다져 본다.

2022-11-0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