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그림이 된 시/이순녀 논설위원

[길섶에서] 그림이 된 시/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3-08-22 23:50
수정 2023-08-22 23: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중장년 세대라면 1970~80년대 활동한 남성 듀오 유심초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를 기억하는 이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1980년 발표돼 큰 인기를 끈 대중가요로 주옥같은 노랫말이 인상적이다. 어렸을 땐 그저 흥겨운 멜로디가 좋아 따라 부르곤 했다.

가사의 원작이 시인 김광섭의 시 ‘저녁에’(1969)라는 사실은 나중에 문학 수업을 들으며 알게 됐다. ‘저렇게 많은 중에서/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밤이 깊을수록/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나는 어둠 속에 사라진다//이렇게 정다운/너 하나 나 하나는/어디서 무엇이 되어/다시 만나랴’(전문)

시는 노래 이전에 그림으로 먼저 변주됐다. 시인의 절친인 화가 김환기는 1970년 완성한 점화 작품에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라는 제목을 붙였다. 호암미술관의 ‘한 점 하늘 김환기’ 전시장 한쪽 벽 가득 걸린 그림 앞에 서니 예전엔 어렴풋했던 시의 의미가 좀더 확연히 다가왔다.
2023-08-2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