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디지털 기록

[길섶에서] 디지털 기록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4-10-18 00:20
수정 2024-10-18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어쩌다 20년 전의 취재 기록이 필요한 상황이 됐다. 디지털 기기 사용이 보편화되기 전이라 취재수첩에 많이 기댔었다. 집 책꽂이 어딘가에 있지 않을까 기대를 갖고 뒤져 봤지만 없었다. 이사를 여러 번 다니면서 버린 모양이다.

디지털 기기가 보편화되기 전의 기록들은 어찌해야 할까. 지인은 앨범 속 사진들을 디지털 포토북으로 모으고 앨범들을 없앴다고 했다. 자신도 거의 들춰 보지 않는 앨범을 자식들이 볼까 싶어서. 오래된 앨범은 아주 가끔 두 손가락으로 넘기면서 과거를 회상하는 낭만이 있는데. 디지털 포토북이면 편하고 깔끔은 하겠다. 그렇게라도 해 놓으면 자식들이 옛날 사진을 찾아볼 수도. 그러다 또 사라지겠지만.

디지털 공간인 클라우드에 넣어 둔 각종 기록은? 여기저기 이메일이나 소셜미디어 계정도 있는데. 가끔은 사적 일상까지 담긴 디지털 기록들은 생산자가 세상을 떠나면 어떻게 되는 걸까. 일정 기간이 지난다고 다 사라질 것 같지는 않고. 나름의 기록인데 남아야 될 것 같기도 하고. 디지털 공간에 기록하는 순간 100% 내 소유가 아닌 듯하다.
2024-10-18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