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환하게 제자리로

[길섶에서] 환하게 제자리로

황수정 기자
입력 2025-03-11 00:03
수정 2025-03-11 00: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제철이던 것들이 끝물로 기울면 안절부절못한다. 이즈음 물미역, 쇠미역, 파래 등속을 나들가게에서 볼 때면 그렇다. 오늘이 마지막인가 서운해서 집어오고. 못 보나 했는데 다시 보이면 반가워서 집어오고. 요량 없이 데려와 삼시세끼 숙제하듯 먹는 날도 있다.

물미역의 몸값은 재작년이나 작년이나 올해나. 품삯이 올랐고, 언 손 녹일 난로의 기름값이 올랐을 텐데. 천원짜리 몇 장에 데려오면 미안해진다.

세상이 완강해져도 저 혼자 득의만만하게 무른 것들은 있다. 눈금저울 없이 손대중으로 몸값을 잴 수 있는 것들. 고무줄로 대충 뿌리째 묶인 물미역, 손어림으로 대충 뭉쳐진 파래. 대충 묶인 고무줄을 대충 풀면서 마음 헐렁해질 때 나는 순해진다. 설핏 묶이고 설핏 엮인 채로 제자리를 잘도 찾아온 것들의 위로. 조금 헐렁해져도 된다고, 때가 되면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고.

겨울 바다를 푸르게 견딘 것들이 떠나는 자리에 봄동. 이름마저 봄인 것이 좌판 소쿠리에 주먹구구로 앉아 있다. 눈금도 없이 저울도 없이 주먹구구로 앉았어도 봄 오는 길을 먼저 알고 왔다. 샛길로 환하게 왔다.
2025-03-11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