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의 막바지, 담장을 타고 오르던 능소화가 하나둘 주홍빛 꽃송이를 떨군다. 불꽃처럼 피어올라 담장을 가득 채우던 빛은 어느새 힘을 잃고 흙 위에 흩어진다. 한때 넝쿨마다 꽃이 터져 나와 화려함을 뽐냈지만 이제는 떨어진 꽃송이들이 바람 속에서 묵묵히 계절의 전환을 알린다.
능소화는 예부터 양반댁 담장을 물들이던 꽃이었다. 높이 오르면서도 단정한 자태 때문에 ‘양반꽃’이라 불렸고, 담장 너머로 세상과 마주하는 모습엔 조용한 기품이 담겼다. 그러나 절정의 순간은 길지 않다. 화려할수록 빨리 지는 운명, 그 운명을 빗대 사람들은 능소화를 ‘미인화’(美人花)라 불렀다. 가장 아름다운 때 곧바로 낙화를 맞는 모습이 짧지만 강렬한 생애와 겹쳐 보였기 때문이다.
주홍빛 능소화가 송이째 떨어지는 모습은 유독 뜨거웠던 올여름과 겹쳐진다. 내내 타오르듯 매달렸던 꽃이 땅으로 향하는 그 짧은 장면은 계절을 넘기는 의식처럼 다가온다. 바람 한 점에도 송이째 툭 떨어질 때 저 멀리 가을이 손짓한다. 올해도 여름은 이렇게 끝을 향해 가고 있다.
2025-08-29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