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디지털 이민자

[길섶에서] 디지털 이민자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25-11-02 23:58
수정 2025-11-03 00: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며칠 전 밤늦은 마트. 어르신이 셀프계산대 앞에서 버튼과 씨름 중이었다. 결국 포기하려는 걸 보자 오지랖이 나왔다. “이 버튼인 것 같아요.”

민망한 듯 “제가 원래 이런 것 잘 쓰는 사람인데…” 하며 쓴웃음 짓는 그분께 “기계가 너무 어려워요. 쓸 때마다 헷갈려요. 저도 식당에서 이런 기계 보면 엄청 헤매요”라고 말을 많이도 했다. 위축되지 마시고 다음에도 계속 사용하시길 바라는 마음이었다.

사실 장광설 중 거짓은 없었다. 키오스크는 정말 모든 이를 공평하게 당황시킨다. 가장 최근의 디지털 전환 사례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조차 종이 메뉴판과 대면 주문이 더 익숙하다. 가게마다 사용법이 다르고 화면을 넘겨 가며 메뉴 고르는 것도 어려워서 키오스크는 세대를 가리지 않고 모두를 디지털 이민자로 만든다.

디지털 디아스포라로 흩어진 우리에게 필요한 건 작은 친절이다. 누군가 버튼을 찾지 못하는 건 개인의 탓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풀어 나가야 할 사회적 과제다. 오늘 도움을 받으면 누구든 내일은 “이 버튼이에요”라고 말해 줄 수 있다.

2025-11-0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유튜브 구독료 얼마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나요?
구글이 유튜브 동영상만 광고 없이 볼 수 있는 ‘프리미엄 라이트'요금제를 이르면 연내 한국에 출시한다. 기존 동영상과 뮤직을 결합한 프리미엄 상품은 1만 4900원이었지만 동영상 단독 라이트 상품은 8500원(안드로이드 기준)과 1만 900원(iOS 기준)에 출시하기로 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적절한 유튜브 구독료는 어느 정도인가요?
1. 5000원 이하
2. 5000원 - 1만원
3. 1만원 - 2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