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어렵게 찾은 수소차 우위/김성곤 논설위원

[씨줄날줄] 어렵게 찾은 수소차 우위/김성곤 논설위원

김성곤 기자
입력 2018-02-09 23:10
수정 2018-02-09 23: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대차가 수소연료전기차(FCEV)를 개발한 것은 1998년이다. 기존 선진국 자동차 회사들을 맹추격할 때다. 하지만 내연기관 자동차는 일본, 독일 차를 따라잡기 쉽지 않았다. 전기자동차도 이미 늦은 감이 있었다. 이때 현대차가 한방에 선진국 자동차 업체들을 따돌리기 위해 생각해 낸 게 FCEV다.
영국의 윌리엄 그로브가 수소와 공기 중 산소의 결합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원리를 발견한 것이 1839년이다. 이로부터 127년 뒤인 1966년 GM이 5㎾급 FCEV를 개발한다. 하지만 환영받진 못한다. 기름값이 싸고, 충전소 확보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묵묵히 FCEV 개발에 매달린다. 자동차 업계에선 ‘나중에 후회할 투자’라는 비아냥도 있었다. 그러나 현대차는 2000년 미국 캘리포니아 연료전지 시범사업에 참여해 75㎾짜리 싼타페를 모델로 한 FCEV를 처음으로 선보인다. 이어 2013년에는 세계 최초로 투싼 FCEV 양산에 성공한다. 압축수소탱크의 안전성 기술도 확보한다.

반면 전기차에 방점을 둔 일본 업체들은 몇몇 회사만 FCEV 개발에 나선다. 이에 비해 현대차는 선도 기업이었지만 거기까지였다. 1억원대 중반의 가격과 짧은 주행거리가 걸림돌이었다. 수소충전소가 몇 개 없으니 차를 사도 무용지물이나 마찬가지였다. 현대차는 결국 궁여지책으로 FCEV와 전기차 개발을 병행하게 된다. 중복 투자인 셈이다. 그 결과물이 요즘 시판 중인 아이오닉이다.

이 틈에 일본도 도요타와 혼다 등이 FCEV 양산에 성공한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지원에 나선다. 이를 통해 일본 업체들은 판매가를 낮추고, 수소충전소도 늘려 나간다. 시판차 대신 아예 FCEV에 맞는 새로운 모델의 차량을 개발, 현대차를 추월한다.

현대차가 최근 차세대 FCEV ‘넥쏘’를 출시했다. 한 번 충전에 609㎞를 달린단다. 현재까진 세계 최장 거리다.

하지만 여전히 과제는 많다. 정부와 지자체의 보조금을 활용하면 4000만원대에 출시가 가능하지만, 수소충전소는 태부족이다. 현재 전국에 구축된 수소충전소는 12곳뿐이다.

일본은 이미 100곳에 충전소를 설치했고, 뒤늦게 뛰어든 독일은 2023년까지 400곳으로 늘릴 예정이다. 중국도 FCEV 개발에 매달리고 있다.

어렵게 찾은 FCEV 기술 우위다. 이를 유지하려면 정부와 기업의 과감한 투자가 뒤따라야 한다. FCEV의 성공은 가격 인하와 충전소 등 인프라에 달렸기 때문이다.
2018-02-1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