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 52만명의 서아프리카 작은 섬나라 카보베르데가 2026 북중미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는 소식이다. 탈락이 확정된 중국 인구 14억 1610만명의 0.037%에 불과하다. 카보베르데는 1460년 포르투갈이 점령한 이후 유럽과 미국을 잇는 삼각노예무역 중심지가 된다. 19세기 후반 노예제가 폐지되면서 카보베르데엔 해방노예들이 몰려들었다. 20세기 들어 포르투갈에 대한 저항운동이 벌어졌고 오랜 무장투쟁 끝에 1975년 독립한다. 1991년 다당제 민주주의를 도입한 이후 모범 민주국가로 발돋움했다.
카보베르데는 대표적 문화국가이기도 하다. 아프리카, 중남미, 유럽 문화가 혼합된 크레올의 진수를 보여 준다. 아프리카 리듬과 유럽 선율, 중남미 감성이 혼재된 음악이 세계인의 호응을 끌어낸다. 특히 모르나는 포르투갈의 파두, 브라질의 삼바, 쿠바의 볼레로와 함께 ‘대서양 문화의 정서적 심장’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런 분위기는 이 나라가 자랑하는 문학, 음식, 미술에서도 드러난다. 모르나는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에 올랐다.
전형적인 혼혈 국가 카보베르데는 아프리카계와 포르투갈 정착민의 피가 섞인 크레올이 인구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아프리카계와 유럽계가 나머지를 나눠 갖는다. 로마가톨릭이 85%, 개신교가 15%를 차지하니 종교 갈등도 없다. 특징적인 것은 해외 교포가 100만명 이상으로 국내 인구보다 많다는 것이다. 국내총생산(GDP)의 20% 이상이라는 이들의 송금이 국가 사회 발전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카보베르데가 ‘아프리카 축구의 작은 거인’으로 떠오른 것도 너무나도 당연히 다문화에서 시너지 효과를 이끌어 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유럽·남미 축구의 장점을 모은 기술적 바탕에 전술적 짜임새를 강조하는 강력한 팀워크가 녹아든 결과라고 한다.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이 갈수록 빨라지고 있는 우리나라다. ‘카보베르데의 기적’이 다문화 사회 통합의 모범 사례를 보여 주는 것 같아 반갑다.
2025-10-1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