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마 빈 라덴의 행적은 최근까지 오리무중이었다. 단지 빈 라덴이 파키스탄 북서부 산악지대를 근거로 활동하고 있다는 첩보만이 언론을 통해 흘러나왔을 뿐이었다.
아프간 국경지역과 인접한 파키스탄 북서부 산악지대는 전통적으로 빈 라덴의 지지층이 단단히 자리잡은 곳이다. 미국이 2500만 달러(약 300억원)의 현상금을 내걸었지만 매번 허탕을 친 이유기도 하다. 그가 최근 들어 대중에 스스로를 노출한 것은 지난해 아랍 위성방송인 알 자지라를 통해서였다. 빈 라덴은 아프가니스탄에 주둔 중인 프랑스에 테러를 경고하는 등 여전한 그의 영향력을 발휘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해 10월 빈 라덴은 알 자지라에 육성 테이프를 보내 “프랑스가 미국인들의 아프간인 살상을 돕고 있으면서 안전하고 평화롭게 살기를 바라는 것이 과연 공평하다고 생각하는가.”라고 경고했다. 이어 “앞서(9월) 아프리카 니제르에서 발생한 프랑스인 5명 납치사건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아프간에서 프랑스군이 철수하지 않으면 추가로 프랑스인들을 납치하겠다.”라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그는 프랑스가 공공장소에서 이슬람 전통의상 착용을 금지한 데 대해서도 강한 반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로 인해 그동안 빈라덴의 행방에 대한 무성한 소문과 추측은 수그러들었다. 빈 라덴과 알카에다 본부가 아프간-파키스탄 접경지대에서 고립돼 있기는 하지만 이슬람 전역 등 각 지부에 대한 통제권은 여전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알자지라방송은 빈 라덴의 사망 소식이 나온 이후 일부 알카에다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 “빈 라덴이 이미 알카에다 조직과 거리를 두고 있어, 그의 죽음이 조직에 직접적인 타격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