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초가에 몰린 ‘미디어 제왕’ 머독

사면초가에 몰린 ‘미디어 제왕’ 머독

입력 2011-07-15 00:00
수정 2011-07-15 13: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英·美 정치권과 경쟁사 협공에다 FBI 수사에도 직면

세계 언론계를 쥐락펴락 해온 ‘미디어 제왕’ 루퍼트 머독(80)이 ‘사면초가’의 처지에 놓였다.

머독은 미국과 영국에서 각각 최대 영향력을 자랑하는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더 타임스’, 뉴욕 포스트와 미국 방송뉴스의 최강자인 폭스뉴스와 스타 TV 등을 소유한 뉴스 코퍼레이션(뉴스코프)의 대표. 늘 여론 독과점 논란에 시달리면서도 전 세계 미디어 산업에서 차지하는 머독의 영향력은 절대적이었다.

그런 그에게 뉴스코프 산하 타블로이드지 ‘뉴스오브더월드’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해킹 사건은 발생 초기만 해도 지나가는 바람으로 보였지만 이제는 ‘머독 제국’을 뒤흔들 ‘토네이도’가 되어버렸다.

머독이 지난 7일(이하 현지시각) 도마뱀 꼬리 자르듯 뉴스오브더월드를 폐간한 이후 사태가 진정되기는커녕 확대일로를 걷고 있는 것이다.

해킹 스캔들이 확산하면서 여론에 밀린 머독은 ‘다 잡은 고기’였던 영국 위성방송 스카이(BSkyB) 인수를 포기하면서 1차 타격을 입었지만 시련은 거기서 끝날 것 같지 않다.

영국과 미국에서 뉴스코프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가 추진되면서 의회와 수사기관에 불려다닐지 모르는 상황에 처했기 때문이다.

자신의 공보 책임자(앤디 쿨슨)가 이번 사건 핵심 인사로 부상하면서 궁지에 몰린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가 국정조사를 지시한 가운데, 영국 하원 문화미디어스포츠위원회는 머독과 그의 아들 제임스, 전 뉴스오브더월드 편집장 레베카 브룩스에게 오는 19일 출두하도록 요청한 상태다.

또 뉴스오브월드가 미국인들의 악몽인 9·11 테러 피해자까지 해킹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사태의 여파는 대서양을 건너 미국으로까지 번졌다. 사건은 영국에서 터졌지만 뉴스코프가 미국법인인 까닭에 미국 의회와 사정 당국이 머독을 그냥 놔두지 않을 태세다.

미국 상원 상무위원회의 제이 록펠러 위원장은 지난 12일 머독 소유 법인에 의한 해킹 여부를 조사하라고 관계 당국에 촉구하면서 “뉴스코프의 전화 해킹이 9·11 테러 희생자 등 미국인에게도 있었을지 우려스럽다”면서 “해킹이 실제로 있었다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로버트 메넨데즈(민주.뉴저지) 상원의원 등이 13일 에릭 홀더 법무장관에게 9·11테러 희생자 가족들이 도청 사건의 피해자가 된 것은 아닌지 조사하라고 촉구한 데 이어 다음날 급기야 연방수사국(FBI)이 관련 의혹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 대한 제1선 저격수 역할을 해온 케이블 뉴스채널 ‘폭스뉴스’가 머독 제국의 일원이라는 점 때문인지 미국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기다렸다는 듯 ‘머독 때리기’에 나서고 있다는 점도 심상치 않다.

또 머독 제국의 압도적 영향력에 숨죽이고 있던 경쟁 매체들도 들고 일어나는 분위기다.

영국의 진보지인 일간 가디언은 13일 ‘뉴스오브더월드의 문제를 알았더라면 WSJ를 머독 측에 팔지 않았을 것’이라는 WSJ 매각 당사자의 반응을 소개했고, 또 다른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FT)는 같은 날 머독을 탁월한 능력을 가졌으되 배신을 일삼는 사람으로 묘사한 전 텔레그래프 사주 콘래드 블랙의 기고문을 실었다.

여기에 더해 뉴스오브월드 뿐 아니라 뉴스코프의 다른 언론사도 불법행위에 연루됐을 것이라는 의혹까지 제기된 상태다.

뉴스코프 산하의 선데이타임스가 고든 브라운 전 영국 총리의 금융 및 재산 정보, 장애인 아들의 지병과 관련한 의료 기록 등을 빼낸 것으로 의심된다는 보도가 나오자 브라운은 선데이타임스와 더 선(The Sun) 등 머독 소유 여러 신문과 범죄자들 간의 연계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이번 사태로 인해 머독이 법정이나 의회 청문회의 증인석에 서게 될지는 불투명하다. 그러나 전 세계 여론을 주무르며 ‘견제받지 않는 권력’으로 자리해온 그의 도덕적 권위에 큰 생채기가 난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당사자인 머독은 뉴스코프 자회사인 WSJ 15일자와의 인터뷰에서 “극복 못 할만한 위기가 아니다”라며 애써 태연한 표정을 지어 보였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