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건물 방사능 1m㏜… 방호복 입은채 車안에서만 취재

일부 건물 방사능 1m㏜… 방호복 입은채 車안에서만 취재

입력 2011-11-14 00:00
수정 2011-11-14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日 후쿠시마 원전 언론 첫 공개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 8개월 만에 현장을 지난 12일 언론에 공개했다. 취재진은 방호복을 입고, 얼굴 전체를 가리는 방진 마스크를 착용한 뒤 버스로 사고 원전에 도착했다. 기자들은 버스에 탄 채 1호기에서 6호기까지 둘러봤다. 수소 폭발로 파손된 원자로 건물과 방사성 오염수 처리시설, 쓰나미로 큰 피해를 본 바다 쪽의 모습 등을 차내에서 취재했다.

●버스안에서도 시간당 100μ㏜ 검출

버스가 원전 부지 안으로 들어서는 순간 버스 안에서는 시간당 100마이크로시버트(μ㏜) 이상의 높은 방사선량이 측정됐다. 일부 원자로 건물 주변에서는 일반인의 연간 피폭 한도인 1밀리시버트((m㏜=1000μ㏜)의 방사선량이 측정되기도 했다. 폭발이 있었던 3, 4호기는 벽의 일부가 아직도 무너진 상태였으며, 쓰나미에 휩쓸린 자동차 등 잔해가 아직도 원전 부지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 이어 원전에서 20㎞ 떨어진 사고 수습의 전진기지인 J빌리지에서 요시다 마사오(56) 현장소장과 인터뷰를 가졌다.

●“원자로 냉각기능 안정돼도 내부 위험”

요시다 소장은 “원자로는 7~8월에 냉각기능이 안정됐지만 완전히 안전한 상태는 아니다.”라며 “원전 내부의 방사선량이 여전히 높으며 매일매일 작업하는 데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요시다 소장은 사고 당시를 회고하면서 “사고가 발생한 3월 11일부터 일주일간은 다음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상상할 수 없었기 때문에 몇 번이고 죽을 것이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원전이 차례로 폭발하고 2호기의 원자로에 냉각수가 유입되지 않으면서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위기 상황을 겪었다며 최악의 경우 멜트다운(노심용융)이 진행되면 통제불능 상태가 돼 그것으로 끝이 될 것이라고 느꼈다고 덧붙였다.

요시다 소장은 자신의 피폭선량에 대해 “개인정보라 밝힐 수 없다. 다만 일정 수준에는 다다랐다.”고만 밝혔다. 그는 현장 책임자로서 사고를 막지 못한 책임에 대해 국민에게 사과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2011-11-1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