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로폼의 1/100 무게 초경량 금속 개발

스티로폼의 1/100 무게 초경량 금속 개발

입력 2011-11-18 00:00
수정 2011-11-18 11: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과학자들이 스티로폼보다 100배나 가벼운 금속을 만들어내는 데 성공, 경량 물질의 한계를 새로 정립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7일 보도했다.

연구진은 99.99%가 공기로 채워지고 나머지 0.01%만 고체인 밀도 0.9mg/cc의 금속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지에 발표했다. 이 금속은 민들레 홀씨 위에 올려놓아도 홀씨가 망가지지 않을 정도로 가볍다.

학자들은 머리카락 1천분의 1 두께의 벽으로 둘러싸인 속이 빈 튜브들을 격자형으로 연결한 구조가 이 초경량 물질의 비밀이라고 밝혔다.

이런 구조 덕분에 이 물질은 50% 이상의 변형으로부터 완전히 원상을 회복하는 탄성과 극도로 높은 에너지 흡수율을 갖는 등 금속으로서는 유례가 없는 기계적 거동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물체의 크기가 나노 수준으로 작아지면서 강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면서 “여기에 극소형 격자구조를 맞춤식으로 결합시키면 단 하나뿐인 다공질 물질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 국방부 국방첨단연구사업국(DARPA)의 프로젝트로 태어난 이 물질은 배터리 전극이나 음향ㆍ진동ㆍ충격 에너지 흡수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연구진은 “파리 에펠탑이나 샌프란시스코 금문교의 예에서 보듯 현대 건축물은 구조 덕분에 믿을 수 없을 만큼 가볍고 중력 효율이 높다. 이런 개념을 나노 수준으로 적용함으로써 우리는 경량 재료에 혁명을 가져왔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