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 사라지자 中東서 현생인류 등장”

“코끼리 사라지자 中東서 현생인류 등장”

입력 2011-12-14 00:00
수정 2011-12-14 09: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식 바뀌며 새 환경에 적응 진화

중동 지역에서는 약 40만년 전에 코끼리가 사라졌으며 이에 따라 코끼리를 주식으로 삼던 원인(原人) 호모 에렉투스가 더 작고 더 빠른 동물들을 사냥하면서 현생인류로 진화하는 신체적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는 새로운 연구가 나왔다.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 연구진은 약 40만년 전 생존에 필수적인 코끼리가 사라지면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최초의 현생인류가 등장했을 것이라는 연구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러스원에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3일 보도했다. .

이는 약 2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최초의 현생인류가 탄생했다는 지배적인 학설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80만년 전 전기 구석기(아슐리안) 유적 발굴지인 게셔 베노트 야코브 에서 나온 호모 에렉투스와 각종 동물 뼈 기록을 분석한 결과 코끼리 뼈가 전체 동물의 2~3%를 차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비율로 보면 작은 것이지만 몸무게가 6t까지 나가는 거대한 코끼리가 사람이 동물성 음식에서 섭취하는 열량의 60%를 차지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코끼리는 한 마리만 잡으면 많은 사람이 먹을 수 있고 지방과 단백질의 비례가 이상적인데다 느린 동작 때문에 사냥하기도 쉬워 호모 에렉투스에겐 그야말로 더할나위 없는 먹잇감이었던 셈이다.

그러나 식물의 섬유질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능력도 떨어지고 불도 사용할 줄 몰랐던 인류는 약 40만년 전 코끼리가 사라지자 심각한 영양 부족에 직면하게 됐고 하는 수 없이 사냥하기 더 힘든 다른 동물들을 잡아야만 하게 된 것으로 연구진은 추정했다.

그 결과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 호모 에렉투스는 더 빨리 움직이고 머리를 더 많이 써야 했으며 결국 최근 케셈 동굴에서 발견된 새롭게 진화한 호미니드가 이들을 대체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런 변화는 호모 에렉투스보다 몸은 더 가벼워지고 뇌는 더 커진 현생인류의 외모에서 그대로 나타난다고 학자들은 지적했다.

연구진은 코끼리의 퇴장과 현생인류의 등장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게셔 베노트 야코브(약 80만년 전)와 케셈(40만~20만년 전) 두 유적지의 고고학 증거들을 비교했다.

호모 에렉투스의 거주지인 게셔 베노트 야코브에서는 코끼리의 뼈가 나왔지만 케셈 동굴에서는 코끼리 뼈는 없고 호모 에렉투스 이후의 호미닌 흔적과 함께 날카로운 석기와 음식 나누기, 불 사용 같은 보다 진화한 행동의 흔적이 발견됐다.

이는 분명 새로운 인간 행동과 새로운 유형의 인간 존재를 말해주는 것이라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한편 아프리카 유적지에서 코끼리가 사라지고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가 등장한 것은 훨씬 뒤인 약 20만년 전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도 아프리카에 코끼리가 있긴 하지만 20만년 전 이후엔 생존한 코끼리 종이 거의 없고 고고학 유적지에서도 코끼리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이는 40만년 전 중동지역의 상황과 매우 비슷한 것으로 결코 우연이 아니라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