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현상은 아시아의 아시아화”

“한류 현상은 아시아의 아시아화”

입력 2012-03-18 00:00
수정 2012-03-18 1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日 교수, 도쿄대 심포지엄서 주장

아시아에서 한류가 강세를 떨치는 것은 미국 문화 편중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고 도쿄대 교수가 지적했다.

소노다 시게토(園田茂人) 도쿄대 대학원 교수는 지난 17일 도쿄대 후쿠타케홀에서 열린 ‘현대한국문화의 아시아적 환류(還流)와 지역 아이덴티티의 가능성’이라는 제목의 심포지엄에서 캄보디아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한류가 맹위를 떨치는 이유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소노다 교수는 “미국 문화에 치우쳐 있던 아시아 국가들이 한류 드라마와 가요 등을 통해 ‘아시아화’를 시도하고 있다”며 “일본에서도 한국인이 ‘중요한 타자(他者)’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김영덕 콘텐츠진흥원 일본사무소장은 “캄보디아에는 자국의 아이돌을 키워내는 시스템이 없고,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는 포용력이 있다는 점이 동남아 한류 열풍에 도움을 줬다”고 동감을 표시했다.

사토 다다오(佐藤忠南) 일본영화대학 학장은 “미국 영화에선 힘센 주인공이 사랑을 쟁취하지만, 한국이나 일본, 중국, 대만의 작품에는 꽃미남이 사랑에 빠지는 장면이 많다”면서, 아시아 문화라는 공통된 기반이 드라마 ‘겨울연가’의 일본 열풍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장수 로고스필름 대표는 한일 드라마를 “한국이 회당 70분 드라마를 주당 2회씩 15∼16부작으로 만들다 보니 스토리 중심형이 된 반면, 일본은 회당 45분 드라마를 주당 1회씩 11∼13부작으로 만들다 보니 수사·의료·가족물 등 장르형 드라마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고 비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