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軍인맥 탄탄하다

시진핑 軍인맥 탄탄하다

입력 2012-11-16 00:00
수정 2012-11-16 0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석직 승계로 군사위 인사 절반 장악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공산당 총서기는 일단 덩샤오핑(鄧小平) 이래 군 인맥이 가장 탄탄한 지도자로 첫걸음을 떼게 됐다. 15일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으로부터 권력의 핵심인 군권(중앙군사위 주석)까지 모두 물려받아 처음부터 군을 강력하게 지휘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다.

이미 중앙군사위 내에 ‘자기 사람’을 여럿 확보한 것으로 전해진다. 쉬치량(許其亮) 부주석은 후 주석이 임명해 ‘후의 남자’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그는 기본적으로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이 발탁한 사람이다. 상하이방(상하이 지역 정치세력)의 맹주인 장 전 주석은 정략적으로 시 총서기를 지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쉬 부주석이 시 총서기를 ‘외면’할 까닭이 없다. 후 주석이 2004년 장 전 주석으로부터 군권을 넘겨받을 때 군부 몫의 부주석 두 자리를 장 전 주석 계열인 궈보슝(郭伯雄)과 쉬차이허우(徐才厚)가 차지했던 것과는 상황이 다르다.

4총부 가운데 하나인 총후근부(군수 담당)를 지휘하고 있는 자오커스(趙克石) 부장과 장유샤(張又俠) 총장비부(군사장비 생산) 부장은 시 총서기 계열로 분류된다. 자오커스의 경우 원래 사령원 정년(65세)에 걸려 전역을 앞뒀으나 시 총서기가 중앙군사위원(정년 68세)으로 승진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팡펑후이(房峰輝) 총참모장이 후 주석의 심복으로 전해졌지만 시 총서기와도 사이가 괜찮고, 마샤오톈(馬曉天) 공군사령원도 후 주석 계열이지만 부친이 군 장성을 지낸 태자당 출신으로 시 총서기와 공통분모가 있다.

시 총서기 본인도 1979년 중앙군사위 겅뱌오(耿飇) 비서장의 비서로 3년간 군을 경험했고, 현역 소장(준장)인 부인 펑리위안(彭麗媛)을 통해서도 폭넓은 군 인맥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후 주석이 군권을 내놓기에 앞서 대대적인 군 인사를 통해 자기 사람들을 대거 심어 놓은 만큼 시 총서기의 군 장악력에 한계가 있을 것이란 시각도 여전하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2012-11-1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