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콴유 전 싱가포르 총리, 뇌허혈 발작으로 입원

리콴유 전 싱가포르 총리, 뇌허혈 발작으로 입원

입력 2013-02-16 00:00
수정 2013-02-16 23: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리콴유(李光耀) 싱가포르 전 총리가 뇌 발작과 이로 인한 불규칙한 심장박동 등의 증상으로 15일(현지시간) 병원에 입원했다고 총리실이 밝혔다.

총리실은 성명을 통해 올해 89세의 리 전 총리가 지병인 심방세동(불규칙한 심장박동)으로 인한 일과성 뇌허혈 발작(TIA)으로 싱가포르 종합병원에 입원했다고 말했다.

일과성 뇌허혈 발작은 뇌에 공급되는 혈액의 흐름이 일시적으로 막혔다가 다시 이어져 순간적으로 뇌가 쇼크 상태에 빠지고 심방세동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심하면 뇌졸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총리실은 리 전 총리가 현재 회복됐으나 며칠 더 병원에 입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리 전 총리는 병원 입원으로 인해 15일 자신의 ‘텃밭’ 지역구 ‘탄종 파가르’(Tanjong Pagar)에서 열린 구정맞이 연례 만찬행사에 처음으로 불참했다. 그는 수십 년 동안 탄종 파가르 선거구 의회 의원직을 지낸 바 있다.

리콴유는 싱가포르 초대 총리로서 1959년부터 1990년까지 싱가포르를 통치해왔으며, 현재는 고문장관(Minister Mentor)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리셴룽(李顯龍) 현 총리가 그의 아들이다.

연합뉴스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오금란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노원2)은 지난 10일 서울시 복지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실질적으로 돕는 보조기기 지원체계는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해 개선돼야 한다며, ‘휠체어를 탄 채로 탑승할 수 있는 장애인용 차량 제조 및 개조 지원’과 ‘휠체어 전용 백팩의 보조기기 편입’, ‘보완대체의사소통(ACC) 등을 제안했다. 1년에 2회, 새로운 보조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필요로 하는 보조기기를 등록하기는 매우 어렵고, 반영되는 예산도 매우 부족하여 시대를 반영하는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장애유형별 요구가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상황 또한 지적했다. 오 의원은 올해 9월 노원구에서 시행한 뇌병변장애인용 차량 개조 지원 사례를 소개하며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것조차도 스스로 할 수 없는 덩치 큰 뇌병변장애인을 보호자가 직접 안아서 들어올리지 않고 휠체어에 탄 상태로 탑승하는 차량으로 개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야말로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한 보조기기의 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 의원은 “차 한 대 개조에만 약 6000만원이 소요돼 사실상 SUV 신차 구입비용과 비슷
thumbnail -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