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탯줄 빨리 자르지 말아야”<호주 연구팀>

“탯줄 빨리 자르지 말아야”<호주 연구팀>

입력 2013-07-12 00:00
수정 2013-07-12 11: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기가 태어난 후 탯줄을 너무 빨리 자르지 말아야 한다는 또 하나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탯줄은 신생아가 출생한 후 1분 내에 자른 것이 보통이다.

호주 멜버른 트로브 대학 의과대학 산과학전문의 수전 맥도널드 박사는 탯줄은 아기가 태어난 후 최소한 1분 후에 잘라야 태반을 통해 보다 많은 혈액이 공급돼 신생아의 철분과 헤모글로빈 수치를 높여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뉴욕 타임스 인터넷판이 11일 보도했다.

산모와 신생아 총3천911쌍이 대상이 된 15건의 무작위 실험을 종합분석한 결과 탯줄을 늦게 자른 신생아가 빨리 자른 신생아에 비해 출생 24~48시간 후의 헤모글로빈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맥도널드 박사는 밝혔다.

탯줄을 늦게 자른 아기는 또 출생 후 3~6개월에 철분이 결핍될 위험이 낮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평균 출생체중도 탯줄을 늦게 자른 아기가 빨리 자른 아기보다 눈에 띄게 무거웠다.

이는 탯줄을 늦게 잘라 그만큼 모체의 혈액이 더 들어왔기 때문이라고 맥도널드 박사는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생아의 철분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태어난 후 1~3분에 자르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산부인과학회는 탯줄을 늦게 자름으로써 얻어지는 이익을 확인할만한 증거가 불충분하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