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비밀요원” 美공무원, 놀면서 10억원 ‘꿀꺽’

“난 비밀요원” 美공무원, 놀면서 10억원 ‘꿀꺽’

입력 2013-09-06 00:00
수정 2013-09-06 07: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2년간 환경청장·동료직원에 거짓 행세

미국 환경청(EPA)에서 선임 정책고문으로 활동한 존 빌(63)은 지난 2000년부터 자주 자리를 비우면서 때론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세계 각지로 여행을 떠나기도 했다.

청장 등 상관이 불러 이유를 물으면 “나는 중앙정보국(CIA)의 1급 기밀 업무를 하고 있다”고 말했고, 이 한마디로 활동에 전혀 제약을 받지 않았다.

빌 고문은 자신의 업무에는 전혀 무관심한 채 자유롭게 돌아다니면서도 월급은 물론이고 보너스, 인센티브까지 받아챙겼다. 환경청이 지난 12년간 그에게 지급한 돈은 약 90만달러(약 10억원)에 달했다.

그러나 최근 이런 거짓이 들통나면서 직장에서 쫓겨난 데 이어 재판에 넘겨져 철창신세를 질 위기에 놓였다.

워싱턴포스트(WP)는 5일(현지시간) 연방 정부기관이 무려 10년 이상 한 사람의 거짓에 속아 넘어간 황당한 사건이 발생했다고 소개한 뒤 이로 인해 환경청이 직원 부패와 관련한 광범위한 조사를 받게 됐다고 보도했다.

환경청의 알리샤 존슨 대변인도 “한 개인이 미국 정부를 얼마든지 속이고 돈을 가로챌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빌 전 고문이 지난 2000년부터 자신에게 부여된 대기·방사능 관련 업무를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최고 3년의 징역형과 함께 약 50만달러의 추징금을 구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프린스턴대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1980년대말 환경청에서 근무를 시작한 빌 전 고문은 조지 W. 부시 대통령 시절인 1990년 ‘대기오염방지법’ 재승인에 관여하는 등 한때는 능력 있는 직원으로 평가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단체인 ‘클린액트 워치’의 프랭크 오도널 대표는 “항상 빌 고문에게는 미스터리한 기운이 감돌았다”면서 “그는 어떤 일이든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였다”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빌 전 고문의 구체적인 범죄 사실과 발각된 경위 등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며, 조만간 열린 공판에서 공개될 것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