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는 죽지 않았다” 美 셧다운 ‘물밑협상’

”정치는 죽지 않았다” 美 셧다운 ‘물밑협상’

입력 2013-10-05 00:00
수정 2013-10-06 00: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진 의원들 비공식 연쇄 회동…접점찾기 총력전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부분 업무정지)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정치권은 막후에서 접점 모색을 위한 협상과 대화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표면적으로는 여야간 대화가 중단된 상태지만 셧다운으로 인한 피해 누적과 함께 연방정부 부채한도 증액협상 결렬에 따른 국가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까지 커지면서 ‘물밑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 것이다.

5일(현지시간)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수전 콜린스(메인), 롭 포트먼(오하이오), 존 매케인(애리조나) 등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최근 민주당 중진 의원들과 비공식 회동을 하고 셧다운 중단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전날 민주당 상원의원들과 잇따라 만나 대책을 논의했다는 콜린스 의원은 “내가 만난 대다수 의원은 셧다운이 가능하면 빨리 중단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최근 여야간 이민개혁정책 협상을 주도했던 척 슈머(민주·뉴욕) 상원의원도 공화당 의원들과 만났다고 전한 뒤 “아주 보수적인 공화당 의원들조차도 정부가 다시 문을 열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말했다.

민주·공화 양당 중진 의원들의 잇단 회동에서는 셧다운 중단 및 부채상한 증액을 위한 구체적인 타협안도 논의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포트먼 의원은 정부지출 일부 삭감, 세제개혁 등을 주장하는 대신 1년간 현 수준에서 정부지출을 유지하는 잠정예산안을 통과시키고 부채상한도 일부 증액하는 방안을 내놨다.

하원에서도 찰리 덴트(공화·펜실베이니아), 론 카인드(민주·위스콘신) 의원 등이 비공식 회동을 잇따라 갖고 셧다운 중단을 위한 중재안을 마련하면서 동료 의원들의 지지서명을 받고 있다.

특히 이들은 의사당 내 회의장은 물론 화장실, 복도 등에서도 수시로 만나 의견을 주고받으면서 여야 지도부 차원에서는 중단된 대화채널을 복원하고 있다고 의회 관계자들은 전했다.

그러나 이런 물밑 협상에도 불구하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해리 리드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가 강경론을 고수하는데다 베이너 의장도 이른바 ‘해스터트 룰(Hastert rule)’을 고집하고 있어 잠정예산안이 단시일 내에 하원에 상정돼 통과되기는 힘들다는 비관론도 여전하다.

지난 1990년대 하원 의장을 지냈던 데니스 해스터트 공화당 의원의 이름을 딴 해스터트 룰은 ‘다수가 반대하는 법안은 상정하지 않는다’는 공화당 내의 관행을 뜻한다.

연합뉴스

이소라 서울시의원 “특성화고 현장실습, 기습점검으로 학생들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해야”

특성화고 학생들의 노동인권 교육과 현장실습 관리가 여전히 형식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현장과 동떨어진 교육, 준비된 교재의 부재, 방문 점검의 실효성 부족 등이 드러나면서 교육청이 실질적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소라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열린 제333회 정례회 제7차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최근 전국 특성화고 노동조합에서 진행한 ‘특성화고 오픈 마이크’ 행사 관련 보도를 보니 “학생들이 충분한 노동인권 교육을 받고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정지숙 서울시교육청 평생진로교육국장은 “12시간의 사이버 노동인권 교육을 의무화하고 현장실습 나가기 전에 또 3시간의 대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의원은 “사이버 교육 이수율이 90%라고 하지만 사이버 교육만으로는 실질적 이해가 어렵다”며 학생들이 이해와 습득이 됐는지 모니터링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물으며 대면교육 확대 검토를 주문했다. 현장실습 점검 방식의 실효성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현재 학교와 교육청은 방문 일정을 사전에 조율해 점검을 실시한다. 그러나 학생들은 “방문 전 회사가
thumbnail - 이소라 서울시의원 “특성화고 현장실습, 기습점검으로 학생들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해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