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8천명 발표했다 석달만에 2만2천명으로 늘려
멕시코 정부가 펠리페 칼데론 정권이 벌인 ‘마약범죄와의 전쟁’ 때 발생한 실종자 수를 집계하는 데 혼선을 빚고 있다.멕시코 내무부는 지난 2006년부터 2012년까지 발생한 실종자를 2만2천322명으로 공식 추산했다고 밀레니오 등 현지 신문들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특히 이는 지난 5월 정부가 발표한 8천 명과 큰 차이가 난다.
실종자 가족들은 정부가 수사하거나 실종자를 찾는 노력보다는 사건을 축소하고 은폐하는데 급급하다고 비난한다.
일부 시민단체는 이마저도 믿을 수 없는 수치라고 지적하고 있다.
2009년 마약조직들이 활개를 치는 북부 지역에서 아들을 잃어버린 한 60대 남성은 정부의 한 관리가 최근 집으로 전화를 걸어 “아들을 못찾았느냐”고 짧게 물어봤다고 현지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그는 조사가 이뤄지는 지 여부에 대한 말은 없고 마치 집을 나간 애완동물의 행방을 묻는 투로 느껴졌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정부는 마약범죄와의 전쟁 때 실종된 경찰관은 50명이라고 발표했다.
경관들은 ‘라 파밀리아’, ‘로스 세타스’ 등 악명높은 마약 카르텔이 설치는 동북부 타마울리파스주와 서부 미초아칸주 등에서 대부분 실종됐다.
마약 범죄와 관련해 살해됐거나 실종 또는 납치된 피해자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점을 정부도 인정하고 있다.
치열한 세력 경쟁을 벌이는 마약 카르텔들은 경쟁 조직원들을 살해한 뒤 시신을 훼손해 구덩이에 암매장하기 때문에 신원 확인도 어렵다.
칼데론 정권 이후 엔리케 페냐 니에토 정부 들어서도 마약 조직원간 싸움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시체 구덩이는 끊임없이 발견된다.
마약범죄와의 전쟁때 사망자는 7만∼8만명 수준으로 추산되고 있지만, 이 또한 정확한 통계라고 보기는 어렵다.
최근 들어 증가하는 납치 범죄는 보복을 두려워한 가족들이 대부분 신고를 하지 않기 때문에 파악하기가 더욱 난해하다.
정부 수사당국도 납치 사건의 피해자 또는 피해자 가족이 신고하는 사례는 10건중 1건도 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한다.
작년 납치 피해자는 1천700명으로 정부는 공식 집계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10만명도 넘을 것이라고 인권 단체 등은 지적한다.
납치 범죄는 전문 집단이 돈이 많은 사업가 등 ‘거물’을 붙잡아 큰돈을 요구하는 형태에서 불량배들이 ‘푼돈’을 구할 목적으로 저지르는 형태까지 확산하는 추세다.
최근에는 재래시장의 상인이나 일용직 근로자 등도 납치돼 “500페소(4만원)만 내면 풀어준다”, “집에 냉장고를 하나 구해야 한다”는 등의 협박을 받은 사례도 있다고 시민단체는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