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오 에스키모족 멸종은 고립을 선택한 결과”

“팔레오 에스키모족 멸종은 고립을 선택한 결과”

입력 2014-08-29 00:00
수정 2014-08-29 1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약 5천년 동안 생존하다 지금으로부터 700년 전 북극에서 갑자기 사라진 ‘팔레오 에스키모족’의 최후에 대한 단서가 나왔다.

이 에스키모족은 캐나다 동부와 그린란드 지역을 수 세기 동안 지배하면서 도싯(Dorset) 문화를 일궜으나 이들의 급작스런 최후는 그동안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의 진화생물학자 에스케 빌레르슬레브 연구팀은 초기 북극문화의 기원과 이주 패턴을 연구하기 위해 고대인의 DNA 169개를 분석했다며 이 종족의 멸종 원인을 고립을 선택한 결과로 해석했다.

연구팀은 이 에스키모족에 대해, 그리고 이들의 급작스런 멸종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그린란드와 캐나다, 시베리아에서 고대인의 유해에서 나온 DNA 조각들을 수집했다.

유전학과 유전체학(genomics)을 이용해 조사한 결과 이 에스키모족은 수천년을 유전적으로 고립된 상태로 존재했으며 다른 종족에로의 동화 등을 통해 사라지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에스키모족은 극지방에 사는 현대의 이누이트족의 조상 격인 툴레족에 흡수된 것으로도 전해졌지만, 이들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빌레르슬레브는 “그동안 사람들이 서로 만날 때마다 그들 사이에 성관계가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해온 점에 비쳐 이 에스키모족은 이웃과 접촉을 했지만 고립을 선택했다는 점이 놀랍다”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 이 종족은 이전에 생각했듯 파도에 휩쓸렸다기보다는 이주라는 방법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옮겨왔다.

특히 고립을 선택함으로써 사람들 사이에 동종교배가 만연했으며 결국 인구가 줄고 종말에 이르렀다고 판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한편으로는 거친 툰드라 기후 속에서도 생존해 온 만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멸종했을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됐다. 북극의 경우 몇도의 경미한 온도 변화가 해양생물을 황폐화해 식량 공급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번 단서 제공에도 이 에스키모족에 대한 미스터리는 여전하다며 추가 연구 필요성을 강조했다.

뉴욕대 인류학자인 토드 디스텔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오늘날 우리에게 좋은 교훈이 될 수 있다”며 “장기간의 고정불변(stability)은 여러분들이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28일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공개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