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 기업들, 보수 로비단체 잇따라 탈퇴>

<실리콘밸리 기업들, 보수 로비단체 잇따라 탈퇴>

입력 2014-09-26 00:00
수정 2014-09-26 08: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후변화 문제 등 이슈 의견차…구글은 탈퇴 선언하며 강도 높은 비난

미국 주 의회를 상대로 정부 규제를 반대하는 활동을 벌여 온 유력 로비단체 ‘미국 입법 교류협회’(ALEC)에서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잇따라 탈퇴했다.

이는 총기 문제나 기후변화 대응 등 미국에서 의견이 극명하게 갈리는 이슈에 대해 이 단체가 보수 쪽에 치우친 목소리를 내면서 회원 기업들의 이미지가 훼손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5일(현지시간) 미국 최대 포털업체 야후는 핵심 이슈에 관한 의견 차이를 해소하지 못했다며 ALEC에서 탈퇴한다고 발표했다.

이 업체는 “우리는 정기적으로 참여 중인 단체의 회원 자격을 유지할 것인지를 검토하는데, 지금 시점에서 우리는 ALEC의 통신·테크 태스크포스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세계 최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기업인 페이스북은 2015년에 ALEC 회원 자격을 갱신하지 않을 공산이 크다는 내용을 담은 성명서를 지난 24일 언론에 배포했다.

음식점 리뷰 사이트로 유명한 옐프는 지난해에 ALEC에 가입했으나 올해 곧바로 탈퇴했다.

이에 앞서 세계 최대의 소프트웨어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와 세계 최대의 인터넷 서비스 기업인 구글도 ALEC 탈퇴를 선언했다.

특히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은 이번 주 미국 공영방송 NPR에 출연해 ALEC이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반대하는 점을 강도 높게 비난했다.

슈미트 회장은 구글이 2011년 ALEC에 가입했으나 이는 잘못한 일이었다며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우리 자녀와 손자 손녀들에게 해를 끼치고 있는 것이며 세상을 훨씬 나쁜 곳으로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그런 사람들과 함께 해서는 안 된다. 그 사람들은 문자 그대로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수도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주 알링턴에 본부를 둔 ALEC은 1973년 설립된 입법 로비단체다.

미국 주 의원의 4분의 1과 접촉하고 있다는 것이 ALEC의 주장이다.

이 단체는 총기 규제를 완화하는 입법 로비 활동도 펴 왔다.

ALEC 공보담당자인 빌 메이얼링은 블룸버그 통신에 “인정하기는 고통스럽지만, 샌프란시스코와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테크 기업 중 많은 수가 비슷한 정책 목표를 갖고 있으므로 이런 연쇄 탈퇴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테크 기업들이 이 나라 의원들의 25%와 대화할 기회를 잃을 것이라는 점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기업들의 ALEC 탈퇴를 촉구해 온 시민단체 ‘미디어와 민주주의 센터’는 지금까지 코카콜라, 제너럴 모터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등 80여 개 기업이 ALEC을 탈퇴했다고 전했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