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제재위 보고서…”외교관들이 불법 무기거래 핵심 역할”
북한의 ‘원양해운관리회사’(OMM)가 선박의 이름을 바꾸는 방법으로 유엔 안보리의 제재를 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5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산하 북한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 보고서에 따르면 OMM은 북한 선적이라는 사실을 숨기려고 소유 선박의 이름을 변경하고 나서 운항을 계속하고 있다.
보고서는 “OMM이 소유했던 선박 14대 중 13대의 이름이 바뀌었고 소유권도 다른 회사로 넘어갔다”면서 “OMM이 브라질, 중국, 이집트, 그리스, 일본, 말레이시아, 페루, 러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에 있는 개인 및 기업과 일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청천강해운, 압록강해운 등 OMM이 만든 34개 페이퍼컴퍼니는 물론 최철호 OMM 부사장, 김영철 청천강해운 사장 등을 제재하도록 권고했다.
OMM은 2013년 7월 청천강 호가 미그-21 전투기를 포함한 무기를 불법으로 싣고 가다 적발된 것과 관련해 작년 7월 안보리의 제재대상(블랙리스트)에 올라 자산 동결과 여행 금지 처분을 받았다.
76페이지의 보고서는 또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계속 무시하면서 핵과 탄도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탄도미사일 개발 소재를 포함한 불법 무기를 거래하는 데 있어서는 외교관과 무역대표들이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고 적시했다.
보고서는 또 북한의 정보당국 관계자들이 국제기구에서 일하면서 북한의 제재를 해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유네스코에서 일한 정찰총국 소속 김영남과 세계식량계획(WFP)에서 일한 그의 아들 김수광, 딸 김수경 등을 예로 들었다.
위원회는 또 2013년과 2014년 한국에서 발견된 북한의 무인기와 관련한 조사를 처음으로 한 뒤 “무인기를 북한이 해외에서 샀는지, 아니면 직접 만들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