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침략사죄’ 외면한 날 日박물관서도 ‘침략 삭제’

아베 ‘침략사죄’ 외면한 날 日박물관서도 ‘침략 삭제’

입력 2015-04-30 15:49
수정 2015-04-30 15: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쟁반성 박물관 ‘피스 오사카’ 테마 ‘가해’서 ‘피해’로 전환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미국 의회에서 ‘침략 사죄’가 빠진 연설을 한 날(일본 시간 30일 새벽), 일본의 대표적 전쟁 반성 박물관인 오사카 국제평화센터(일명 피스 오사카)에서 ‘침략’이라는 표현이 삭제됐다.

오사카시 주오(中央)구의 전쟁 전쟁 박물관인 피스 오사카에서 30일 오전 마쓰이 이치로(松井一郞) 오사카부(府) 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재개장 기념 행사가 열렸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내부 개조를 거쳐 재개장한 피스 오사카에는 기존에 있던 일본군의 가해행위 전시와, 각종 게시물상의 ‘침략’이라는 표현이 사라졌다고 교도는 전했다.

대신 2차대전 말기 연합군의 오사카 공습에 대한 전시 및 체험 공간이 그 자리를 채웠다.

가해의 역사에서 피해의 역사로 전시의 초점이 180도 바뀐 것이다.

이날 마쓰이 지사는 관내를 시찰한 뒤 “좋은 시설이 됐다”며 “내용에 만족한다. 아무것도 얻을 게 없는 것이 전쟁임을 실감할 수 있게 됐다”고 호평했다. 그러면서 그는 “일본의 패전이 보이는 와중에 무차별적으로 소이탄을 떨어뜨린 미국은 지나쳤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면, 박물관 개조 전 전시에 관여했던 전(前) 피스 오사카 직원 쓰네모토 하지메(常本一·57) 씨는 교도와의 인터뷰에서 “강제연행과 군위안부에 대한 언급이 사라지고 전체적 구성도 일본이 방어적으로 전쟁했다는 뉘앙스를 풍긴다”고 비판했다.

또 시민단체 회원들은 피스 오사카 앞에서 ‘세계에서 통용되는 역사인식을’, ‘전쟁찬미의 평화관을 만들지 말라’는 등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오사카시와 오사카부가 공동 출자한 재단법인이 운영하는 피스 오사카는 1991년 설립 이후 일본군의 중국 난징(南京)대학살 사진 등 과거 일본군의 만행을 알리는 전시를 해왔다. 특히 한반도, 중국 관련 전시 코너에는 일본이 외국을 침략했다는 표현이 여러 개 있었다.

그러나 2012년 12월 출범한 아베 정권의 우경화 행보 속에, 오사카부 의회 일부 의원들이 이곳의 전시물이 ‘자학적 시각’을 담았다는 의견을 제시하자 피스 오사카는 2013년 4월에 가해행위에 관한 전시물을 대폭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이어 작년 9월 전시 내용 변경을 위해 일시 문을 닫았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반가운 소식을 전했다. 그간 극심한 혼잡으로 주민 불편이 컸던 3324번 버스 노선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근시간대 전용 신설노선 8333번이 12월 중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13일 서울시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은 박 의원은 “오랜 기간 주민들이 겪어온 출근시간대 버스 혼잡 문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며 “신설 노선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을 한결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맞춤버스 8333번은 오전 6시 40분부터 8시 05분까지 총 8회 운행되며, 암사역사공원역–고덕비즈벨리–강일동 구간을 단거리로 반복 운행한다. 출근시간대에 집중되는 승객을 분산시켜 기존 3324번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간 3324번 버스는 평일 12대의 차량으로 운행되며 강일동을 경유해 왔지만, 출근시간대 최대 혼잡도가 160%를 넘어서며 승객 불편과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고덕비즈벨리 기업 입주 증가와 유통판매시설 확대로 승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 노선만으로는 혼잡 완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박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