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美연설 ‘깊은 반성’ 일본어판은 ‘통절한 반성’

아베 美연설 ‘깊은 반성’ 일본어판은 ‘통절한 반성’

입력 2015-04-30 10:54
수정 2018-06-19 16: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베담화에 쓸 가능성’식민지배·침략’ 대신 쓴 ‘행위’ 표현도 주목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29일(현지시간) 미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문은 8월 발표할 전후 70주년 담화(아베 담화)와 관련한 여러 시사점을 남겼다.

우선 아베 총리가 연설에서 거론한 2차대전에 대한 “깊은 반성(deep remorse)”이 일본어 번역본에는 “통절한 반성”으로 명시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일본 외무성이 영어로 행한 아베 총리의 연설을 번역해 내외신 기자들에게 제공한 일본어판에는 “통절한(츠우세츠나·痛切な) 반성”이라는 표현이 사용됐고, 그에 따라 30일자 아사히, 요미우리, 마이니치,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주요 일본 신문들은 1면 톱 기사 제목으로 일제히 ‘통절한 반성’을 뽑았다.

아베 총리는 지난 22일 반둥회의 연설을 포함, 올들어 각종 연설 계기에 2차대전에 대한 “깊은(후카이·深い) 반성”이라는 표현을 썼기에 일본인들로서는 아베 총리가 진전된 반성을 표명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더욱이 ‘통절한 반성’은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총리가 전후 50주년 담화(무라야마담화)에서 식민지배와 침략에 대해 사용한 용어였다. 때문에 반성의 ‘대상’이 다르긴 하지만, 무라야마담화의 일부 표현을 계승한 듯한 인상을 줬다.

사실 무라야마담화의 영문판에도 ‘통절한 반성’은 이번에 아베 총리가 사용한 ‘deep remorse’로 표기돼 있는 만큼 번역 자체에는 특이점이 없었다.

하지만 일주일전, 아베 총리의 반둥회의 연설문 영문판에는 ‘deep remorse’라는 표현을 쓰고, 아베 총리는 일본어로 행한 실제 연설에서 ‘통절한 반성’이 아닌 ‘깊은 반성’을 말했다. 결국 7일 사이에 영어로는 같은 표현을 쓰되, 일본어는 ‘깊은 반성’에서 ‘통절한 반성’으로 톤을 높인 것이었다.

도쿄신문의 취재에 응한 일본 정부 당국자는 “의도적으로 (일본어 표현을 ‘깊은 반성’에서 ‘통절한 반성으로) 바꾼 것은 아니다”며 “의미는 같다는 인식”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중요한 연설문의 일본어 표현을 의미없이 바꿨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결국 아베 총리가 8월에 발표할 전후 70주년 담화(아베 담화)에 ‘통절한 반성’을 넣기에 앞서 미리 그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여론의 반응을 떠 보려는 포석이었을 가능성이 엿보인다.

하지만 설사 ‘통절한 반성’을 아베담화에 쓰더라도 그 반성의 ‘목적어’가 ‘식민지배와 침략’이 아닌 ‘앞선 대전’일 경우 한국 등의 반발은 불가피해 보인다.

아울러 아베 총리가 미 의회 연설에서 “스스로의 행위(action)로 아시아 각국에 고통을 줬다”며 사용한 ‘행위’라는 단어는 무라야마담화의 핵심인 ‘식민지배와 침략’ 문구의 대체 표현으로 보인다.

이 표현 역시 전후 70년 담화에 그대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기에 ‘역사인식 물타기’ 논란이 예상된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