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지변에 탐욕 겹쳐…침몰 中유람선 문제점 속속 드러나

천재지변에 탐욕 겹쳐…침몰 中유람선 문제점 속속 드러나

입력 2015-06-08 11:47
수정 2015-06-08 11: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경보 “건조업체조차 불분명…무리한 개조” 질타

440여 명이 사망·실종하는 ‘대참사’가 된 중국 양쯔(揚子)강 유람선 침몰사고는 천재지변과 인간의 탐욕, 안전 불감증이 총체적으로 결합한 비극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7일 중국 신경보(新京報)에 따르면 중국당국은 사고선박인 ‘둥팡즈싱’(東方之星) 관계자들과 이 선박을 소유한 둥팡(重慶東方)윤선공사를 대상으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지만, 이 선박을 누가 설계하고 건조했는지조차 베일에 싸여 있다.

일부 중국언론은 ‘둥팡즈싱’은 둥펑(重慶東風)선박공업공사가 설계하고, 푸링촨둥(부<우부방 대신 물수변 있는 部>陵川東)조선소가 건조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그러나 푸링촨둥조선소는 ‘둥팡즈싱’은 자신들이 건조한 선박이 아니라고 부인한다. 이들은 단지 1992년 600명을 태울 수 있는 두 척의 여객선 골격을 건조해 둥팡윤선에 넘겨준 일이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둥팡윤선은 ‘둥팡즈싱’은 자신들이 소유한 조선소에서 스스로 건조한 것이라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신경보 측은 이렇게 엇갈리는 주장을 종합해 볼 때, 둥팡윤선이 푸링촨둥 등으로부터 넘겨받은 각종 선박 구조물을 자신들이 운영하는 조선소에서 결합해 여객선으로 건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둥팡윤선은 이런 방법으로 4년 간 ‘둥팡즈싱’을 포함해 6척의 ‘둥팡’ 시리즈 여객선을 건조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당시 둥팡윤선은 ‘둥팡즈싱’과 같은 규모의 여객선을 건조할 수 있는 자격이 없었다. 둥팡윤선는 당시 길이 60m·적재량 2천t 이하의 선박만 건조할 수 있었지만, ‘둥팡즈싱’이 건조됐을 당시의 길이와 적재량은 각각 66m, 2천200t이었다.

푸링촨둥 관계자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 둥팡즈싱의 모습을 상세하게 살펴봤는데, 완전히 다른 두 척의 선박이라고 할 정도로 우리가 건조했던 선박골조와는 완전히 완전히 달랐다”고 말했다.

신경보는 “그같은 선박건조 방식을 선택한 동기는 비용 절감이었다”고 지적했다.

둥팡윤선이 건조했던 ‘둥팡다디’(東方大帝), ‘둥팡즈주’(同方之珠), ‘둥팡왕차오’(東方王朝), ‘둥팡왕쯔’(東方王子) 등 ‘동방’ 시리즈는 그동안 하나같이 크고 작은 선박 사고에 휘말렸다.

1997년 ‘둥팡즈주’는 양쯔강 시링사(西陵峽)에서 선박 충돌 사고가 났고, ‘둥팡왕차오’는 선박에서 화재사건이 발생해 2001년 운항 정지 및 개선명령을 받았다.

’둥팡왕쯔’ 역시 2000년 암초에 충돌하는 사고가 났고, 이번에 침몰한 ‘둥팡즈싱’ 역시 2008년 4월 14일 다른 여객선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그런 와중에서도 둥팡윤선은 1997년 ‘둥팡즈싱’을 대대적으로 개조해 유람선으로 투입했다. 선박은 66m에서 76.5m(폭 11m, 높이 18.6m)로 늘어났다.

또 평평한 모습이었던 선미는 뾰족한 형태로 바뀌었다. 기름을 절약하기 위한 조치였다.

신경보는 “2007년 이전까지 둥팡윤선과 현지 선박검사기관은 모두 충칭완저우(重慶万州)교통기관에 소속돼 있었다”며 둥팡윤선과 검사기관 간부들이 밀접하게 왕래하는 등 사실상의 특수관계를 형성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