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2주간 300명 메르스 격리 검사…과잉대응 논란도

홍콩, 2주간 300명 메르스 격리 검사…과잉대응 논란도

입력 2015-06-21 11:24
수정 2015-06-21 1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원 음성…한국발 여행객 274명 포함

홍콩 보건당국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대응 등급을 ‘경계’에서 ‘엄중’으로 격상한 지난 8일(현지시간) 이후 거의 2주간 현지 병원에 격리돼 메르스 감염 여부를 검사받은 여행객 수가 300명에 달했다.

특히 본인이 아닌 가족이 한국에 다녀온 경우에도 열이 있으면 격리대상자에 포함되고 있어 과잉대응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21일 홍콩 보건당국에 따르면 지난 8일 이후 20일 정오까지 한국발 여행객 274명 등 모두 300명이 발열 등 메르스 의심 증세를 보여 병원에 격리된 채 검사를 받았다.

메르스 감염 여부를 검사한 결과 이들 모두 음성 반응을 보였다.

홍콩 당국은 최근 14일간 한국과 중동을 다녀온 적 있는 여행객이 발열 등 증세를 보이면 8일부터 모두 메르스 감염 의심자로 분류해 병원에서 격리 검사를 하고 있다. 메르스의 잠복기는 최장 14일로 알려졌다.

하루평균 격리 검사자 수는 지난 8∼9일 9.5명에서 11∼12일에는 40명 선으로 급증했지만, 이후 감소세로 돌아서 19일 정오 이후 24시간 동안은 한자릿수인 8명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한국에 다녀오지 않더라도 격리 대상자에 포함되는 일도 있어 일각에서 과잉 대응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홍콩에서 외국계 기업에 근무하는 한국인 L모(40대)씨의 아이는 지난 15일 열이 나서 동네 의원에 갔다가 L씨가 열흘 전 한국에 갔다 온 적 있다는 이유로 차이완(柴灣)의 대형병원으로 옮겨져 격리됐다.

병원 측은 한국에 다녀온 적 없는 L씨 아이를 격리해 메르스 감염 여부를 검사했지만, 정작 한국을 다녀온 L씨는 검사하지 않았다.

아이를 검사한 의사 중 한 명도 격리에 동의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행히 아이는 메르스 음성 반응을 보였다.

L씨는 “내가 아니라 한국에 간 적 없는 아이만 격리 검사하는 것을 수긍하기 어려웠지만, 한국인에 대한 정서가 더 악화할까 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며 “아이를 간호하기 위해 회사를 출근하지 못했지만,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사태를 겪은 홍콩인들이 과잉 대응하는 점도 이해는 간다”고 말했다.

한편, 홍콩 당국이 앞으로 최장 한 달간 ‘엄중’ 등급과 한국에 대한 홍색(紅色) 여행경보를 유지할 방침이어서 앞으로도 메르스 격리 검사를 받는 한국발 여행객이 늘어날 전망이다.

코윙만(高永文) 식품위생국장은 “지난 며칠간 한국에서 새로운 (메르스) 전염 건 보고가 줄어드는 경향”이라면서도 “14일인 잠복기 1회나 2회 동안 전염이 보고되지 않는다면 경보 단계를 낮추는 것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당국이 당분간 여행경보를 유지하기로 하면서 홍콩 여행업계의 한국행 여행 취소가 이어지고 있다.

홍콩 여행업협회인 여유업의회(旅遊業議會)는 다음 달 15일까지 예약된 한국행 단체관광을 취소하기로 했다. 여유업협회가 단체관광 취소 일정을 이달말에서 다음달 중순으로 연기함에 따라 한국 단체여행 계획을 접은 홍콩인 수는 17일 기준 1만5천 명에서 2천 명가량 늘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홍콩 대학체육협회인 대전체육협회(大專體育協會)는 다음 달 3일부터 14일까지 한국 광주에서 열리는 하계유니버시아드(U대회)에 체조와 골프, 사격, 펜싱, 다이빙, 조정 등 6개 종목 선수 27명이 불참한다고 밝혔다. U대회에 참가하는 홍콩 선수는 태권도와 육상, 수영, 양궁 등 8개 종목 66명으로 줄었다.

민병주 서울시의원, 조합설립 동의율 75% 완화로 소규모 정비사업 속도 낸다

조합설립 동의율 완화(재개발 75%, 재건축 70%)로 소규모 정비사업 추진이 빨라지고, 정부의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기준 완화로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주거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민병주 의원(국민의힘·중랑4)은 지난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위원회를 통과한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빈집법) 개정안과 관련해 “그동안 지연되던 소규모 정비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는 중요한 계기”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서울시 모아주택이나 가로주택 정비사업에 해당하는 소규모 재개발의 조합설립 동의율을 기존 80%에서 75%로, 소규모 재건축의 경우 75%에서 70%로 낮추는 내용을 포함했다. 또한 서울시 다세대·연립주택의 베란다 샷시, 주차장 캐노피, 차양 등 소규모 위반 건축물에 부과되는 이행강제금을 감경하는 규정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 추진에 필요한 동의자 수가 줄어들어 절차가 신속해지고, 장기 표류하던 구역의 사업 정상화0가 기대된다. 민 의원은 “동의율 완화는 주민 갈등을 줄이고, 사업비 부담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며 “서울시 역시 소규모 정비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thumbnail - 민병주 서울시의원, 조합설립 동의율 75% 완화로 소규모 정비사업 속도 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