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기 올들어 숨쉴 틈 생겼다…대기질 16% 개선

중국 공기 올들어 숨쉴 틈 생겼다…대기질 16% 개선

입력 2015-07-23 10:17
수정 2015-07-23 1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이 산업용 석탄연료의 사용을 제한하기 시작하면서 지난 상반기 주요 도시의 대기오염 수준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 환경보호단체 그린피스가 밝혔다.

그 결과가 국제 기준은 물론 중국 자체의 기준치에도 한참 미치지 못하기는 했지만 전년 상반기와 비교 가능한 189개 도시의 PM 2.5(지름 2.5㎛ 이하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16%나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23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가 공개한 실측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이번 조사에서 189개 도시중 18개 도시만이 대기오염도가 높아졌을 뿐이다.

대기오염으로 악명높은 베이징은 상반기 평균 PM 2.5 농도가 1㎥당 77.8㎍으로 전년 상반기보다 15.5% 떨어졌다. 상당 부분 개선되기는 했지만 이 역시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기준치(10㎍)보다 7배 이상 높다.

광저우(廣州)의 대기질은 전년보다 18.5% 나아졌고 상하이(上海)는 1.6%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PM 2.5 농도의 핵심물질인 이산화황(SO2) 농도가 전체적으로 18% 낮아진 것이 크게 작용했다. 베이징에서는 특히 42.6%나 감소했다.

그린피스는 대기질 개선의 요인으로 중국 정부가 올해초 환경보호 법규를 신설, 대기오염 물질 배출에 대한 상한선 기준을 설정하고 벌과금 제도를 강력하게 시행한데 따른 것으로 풀이했다.

그린피스 관계자는 “PM 2.5 및 이산화황 농도의 감소는 올 상반기 석탄 소비가 많은 화학, 전력, 야금, 건재 등 4대 산업에서 석탄 소비량이 5% 감소한 것과 일치한다”며 “석탄 소비에 대한 전국적인 상한선 설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린피스는 전체 조사 대상인 358개 도시의 PM 2.5 농도가 53.8㎍으로 WHO의 권장기준보다 5배나 높고 이들 도시의 80% 이상이 중국 자체의 기준치보다 높은 대기오염도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작년 상반기에 비해 대기오염이 가장 심해진 도시로는 허베이(河北)성 정저우(鄭州), 허난(河南)성 자오줘(焦作), 랴오닝(遼寧)성 잉커우(營口)가 꼽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