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주가가 속절없이 추락하고 있다. 중국 경제 성장세의 둔화와 이달 초 발표된 1분기(4~6월) 실적마저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주가를 끌어내리고 있다.
알리바바 주가는 지난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전날보다 0.35달러 떨어진 주당 74.76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11월의 사상 최고치(120 달러)보다 무려 35%나 곤두박질쳤다. 알리바바의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 까닭은 중국 경제가 둔화세를 보이고 있는 데다 실적마저 악화된 탓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달 15일 기자회견을 열고 2015년 2분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경제성장률이 2009년 1분기(6.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성장률에 대해 시장이 의혹을 제기하고,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7월 예비치가 48.2로 15개월래 최저치를 떨어지는 바람에 중국 경제에 대한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경제 성장률의 둔화에 따른 내수 경기 악화는 알리바바의 실적에 직격탄으로 작용했다. 알리바바는 상장 당시 투자자들을 만나 중국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온라인 쇼핑 시장이 커지고 있으며 무엇보다 중국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을 자사의 향후 성공 기반이라고 홍보한 바 있다. 하지만 알리바바는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28% 증가한 32억 7000만 달러(약 3조 8660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월가가 예측한 33억 9000만 달러를 크게 못미쳐 애널리스트와 투자자들을 실망시켰다. 매출 성장률(28%)는 3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2월부터 온라인 복권판매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면서 알리바바가 복권판매를 중단한 것이 매출 하락에 영향을 줬다고 지적했다. 알리바바 측은 기존엔 직접 운영하던 소액대출 사업을 금융 자회사인 ANT파이낸셜에 양도한 것도 실적 부진의 원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알리바바가 지난해 9월 역대 최대인 250억 달러 규모의 기업공개(IPO)로 뉴욕 증시에 상장됐지만 당시 제기된 우려들이 현실화하고 있다고 미국 경제·금융전문 매체 마켓워치가 보도했다. 알리바바는 지난 6월 미국 현지 소비자를 겨냥해 만든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기반 사이트인 ‘11메인’을 현지 업체인 오픈스카이에 매각했다. 알리바바가 미국 진출을 위해 추진한 첫 시도가 결국 실패한 것이다. 알리바바는 지난 5월 대만에서 자회사 사이트의 폐쇄 명령을 받고 벌금을 물기도 했다.
알리바바는 IPO에 앞서 2014 회계연도에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5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순이익은 무려 170% 늘었다. 올 1분기 회계연도 순이익도 148% 증가했지만, 영화 자회사인 알리바바픽처스를 분할해서 얻은 이익이 대부분이었다. 중국 시장 의존도가 너무 높다는 시각도 많다. 알리바바의 1분기 매출액에서 중국이 차지한 비중은 75%에 이른다. 알리바바는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가 중국 내 매출과 순익에 실질적이고 불리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고백했다. 여기에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알리바바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타오바오(淘寶)에서 거래되는 ‘짝퉁 제품’을 문제 삼을 수 있다는 점이 향후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짝퉁 제품 단속을 본격화하면 중국 내 거래량이 급감해 알리바바의 성장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
다급해진 알리바바는 주가 방어를 위해 앞으로 2년간 4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기로 했으나 사정은 녹록치 않다. 조지 소로스 펀드 매니지먼트는 지난 3월말 3억 7000만달러 상당의 알리바바 주식을 보유했으나 대거 처분하고 현재 알리바바 주식 시가 488만 달러어치만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영국 BBC방송 등이 16일 보도했다. 소로스 측이 알리바바의 성장 지속성에 의문을 품고 일찍부터 보유 주식을 정리해 온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알리바바 주가는 지난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전날보다 0.35달러 떨어진 주당 74.76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11월의 사상 최고치(120 달러)보다 무려 35%나 곤두박질쳤다. 알리바바의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 까닭은 중국 경제가 둔화세를 보이고 있는 데다 실적마저 악화된 탓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달 15일 기자회견을 열고 2015년 2분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경제성장률이 2009년 1분기(6.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성장률에 대해 시장이 의혹을 제기하고,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7월 예비치가 48.2로 15개월래 최저치를 떨어지는 바람에 중국 경제에 대한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경제 성장률의 둔화에 따른 내수 경기 악화는 알리바바의 실적에 직격탄으로 작용했다. 알리바바는 상장 당시 투자자들을 만나 중국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온라인 쇼핑 시장이 커지고 있으며 무엇보다 중국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을 자사의 향후 성공 기반이라고 홍보한 바 있다. 하지만 알리바바는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28% 증가한 32억 7000만 달러(약 3조 8660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월가가 예측한 33억 9000만 달러를 크게 못미쳐 애널리스트와 투자자들을 실망시켰다. 매출 성장률(28%)는 3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2월부터 온라인 복권판매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면서 알리바바가 복권판매를 중단한 것이 매출 하락에 영향을 줬다고 지적했다. 알리바바 측은 기존엔 직접 운영하던 소액대출 사업을 금융 자회사인 ANT파이낸셜에 양도한 것도 실적 부진의 원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알리바바가 지난해 9월 역대 최대인 250억 달러 규모의 기업공개(IPO)로 뉴욕 증시에 상장됐지만 당시 제기된 우려들이 현실화하고 있다고 미국 경제·금융전문 매체 마켓워치가 보도했다. 알리바바는 지난 6월 미국 현지 소비자를 겨냥해 만든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기반 사이트인 ‘11메인’을 현지 업체인 오픈스카이에 매각했다. 알리바바가 미국 진출을 위해 추진한 첫 시도가 결국 실패한 것이다. 알리바바는 지난 5월 대만에서 자회사 사이트의 폐쇄 명령을 받고 벌금을 물기도 했다.
알리바바는 IPO에 앞서 2014 회계연도에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5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순이익은 무려 170% 늘었다. 올 1분기 회계연도 순이익도 148% 증가했지만, 영화 자회사인 알리바바픽처스를 분할해서 얻은 이익이 대부분이었다. 중국 시장 의존도가 너무 높다는 시각도 많다. 알리바바의 1분기 매출액에서 중국이 차지한 비중은 75%에 이른다. 알리바바는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가 중국 내 매출과 순익에 실질적이고 불리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고백했다. 여기에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알리바바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타오바오(淘寶)에서 거래되는 ‘짝퉁 제품’을 문제 삼을 수 있다는 점이 향후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짝퉁 제품 단속을 본격화하면 중국 내 거래량이 급감해 알리바바의 성장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
다급해진 알리바바는 주가 방어를 위해 앞으로 2년간 4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기로 했으나 사정은 녹록치 않다. 조지 소로스 펀드 매니지먼트는 지난 3월말 3억 7000만달러 상당의 알리바바 주식을 보유했으나 대거 처분하고 현재 알리바바 주식 시가 488만 달러어치만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영국 BBC방송 등이 16일 보도했다. 소로스 측이 알리바바의 성장 지속성에 의문을 품고 일찍부터 보유 주식을 정리해 온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