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남성, 렌즈 끼고 잠들었다가 한쪽 눈 실명

미국 남성, 렌즈 끼고 잠들었다가 한쪽 눈 실명

입력 2015-08-22 10:32
수정 2015-08-22 1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남성이 콘택트렌즈를 끼고 잠들었다가 한쪽 눈이 영영 앞을 볼 수 없는 상태가 됐다.

2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 등에 따르면 미국인 조각가 채드 그뢰쉔(39)은 미국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에서 콘택트렌즈를 끼고 잠에 들었다가 슈도모나스 균에 감염돼 왼쪽 눈을 실명했다.

병원에 찾아갔을 때 그뢰쉔의 눈동자는 회색 막이 덮여 있었고 흰자위는 심하게 충혈돼 빨개진 상태였다.

담당 의사는 그뢰센이 시력을 되찾으려면 각막 이식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내렸다.

그뢰센의 왼쪽 눈을 실명에 이르게 한 것은 콘택트렌즈를 권장기간보다 너무 오래 끼고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뢰센은 언론인터뷰에서 “’나이트 앤드 데이’ 렌즈를 착용했는데, 렌즈를 30일 동안 착용해도 되는 줄 알았다”면서 “일주일에 한 번씩만 렌즈를 바꿔 꼈다”고 밝혔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조사에 따르면 렌즈 착용자의 82.3%가 권장 기간보다 오래 렌즈를 사용했고 50%는 렌즈를 낀 채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CDC는 콘택트렌즈로 인한 감염질환을 예방하려면 자거나 샤워하거나 수영할 때 콘택트렌즈를 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콘택트렌즈에 물이 닿지 않게 관리하고, 사용한 세정액은 반드시 버리되 렌즈 통은 매일 씻고 석 달에 한 번 교체하라고 CDC는 권고했다.

토머스 스테인먼 미국안과학회 대변인은 “렌즈를 끼고 잠깐의 낮잠도 위험하다”며 “잘못된 콘택트렌즈 관리는 나쁜 결과를 가져올 ‘러시안룰렛’과 같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