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증시 상승 랠리…뉴욕증시 2%대·유럽 3%대 올라

글로벌 증시 상승 랠리…뉴욕증시 2%대·유럽 3%대 올라

입력 2015-08-28 07:19
수정 2015-08-28 07: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증시 진정…상하이지수 5.34% 폭등하며 상승 견인

세계 주요국 증시가 27일(현지시간) 중국발 쇼크에서 벗어나 일제히 큰 폭으로 상승 마감했다.

중국 상하이지수가 5.3% 폭등하며 엿새만에 반등에 성공하자 유럽 주요국 증시가 3%대, 미국 뉴욕증시도 2%대 상승으로 바통을 이어받는 초강세장이 펼쳐졌다.

중국의 잇딴 증시 부양책과 시장개입이 투자자의 불안을 진정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는 가운데, 세계 증시가 확연히 안정을 되찾는 모습이다.

유럽 주요 증시는 이날 큰 폭의 오름세로 마감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일 종가보다 3.56% 오른 6,192.03으로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도 전일 종가대비 3.18% 상승한 10,3125.62,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3.49% 오른 4,658.18로 각각 거래를 끝냈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3.5% 상승했다.

전날 7거래일 만에 반등했던 뉴욕증시도 동력을 유지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이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369.26포인트(2.27%) 오른 16,654.77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47.15포인트9(2.43%) 높아진 1,987.66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115.17포인트(2.45%) 오른 4,812.71로 각각 종료됐다.

다우 지수는 장중 한때 381포인트까지 치솟기도 했다.

미 국내 경제의 순항을 나타내는 잇단 거시경제 지표가 견인차가 됐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연간 기준 3.7%로 수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인 3.2%를 넘는 것이다.

노동부의 집계 결과, 지난 22일로 끝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7만1천건으로 한 주 전에 비해 6천 건 줄어들며 5주 만에 감소로 돌아섰다.

7월 미국의 기존 주택 판매지수도 전달 수정치에서 0.5% 상승한 110.9를 기록하며 주택 시장의 안정을 재확인시켰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차이나 쇼크’의 진원인 중국 증시가 엿새만에 반등하며 진정 국면에 접어든 게 투자심리 회복에 도움을 줬다고 분석하고 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이날 5.34% 폭등하며 지난 5거래일 연속 하락세에서 탈출했다. 선전 성분지수도 3.58% 올랐다.

중국 정부가 내달 항일 전승절 열병식 행사를 앞두고 증시와 환율시장에 개입했다는 소식에 시장이 반응한 것으로 분석된다.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들은 중국 당국이 상하이 증시에 상장된 대기업 주식을 대거 사들였고, 위안화 가치를 지키기 위해 환율시장에도 개입했다고 전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25일 기준금리와 지급준비율을 인하한 데 이어 전날 단기유동성조작으로 1천400억 위안을 공급했고, 이날도 1천500억 위안의 유동성을 시중에 투입하는 등 부양책을 쏟아내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