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보다는 금리동결 가능성이 약간 우세”

“美 금리인상보다는 금리동결 가능성이 약간 우세”

입력 2015-09-17 10:12
수정 2015-09-17 1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로이터 조사, 45대 35…FT 조사, 16대 14

금융시장은 근소한 차이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이번에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미국시간으로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결정내용은 한국시간으로 18일 오전 3씨께 발표한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시장 관심이 이제는 이번 금리 인상 여부를 떠나, 연준이 장기적으로 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기대감으로 옮겨지는 모습이 완연하다고 전했다.

로이터가 16일(이하 현지시간) 실물 경제 전문가 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공개한 바로는 45명이 이번에는 금리가 올라가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본 사람은 35명으로 나타났다.

연준과 직접 거래하는 프라이머리 딜러 22명 가운데 12명은 금리 동결을, 10명은 인상을 각각 점쳤다.

로이터는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연방 선물 계약 추이에서도 연준이 금리 인상을 발표할 확률이 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도 17일 30명의 시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4명은 ‘이번에 인상된다’고 본 반면, 16명은 ‘아니다’라고 대답했다고 전했다.

금리 인상이 미뤄질 것으로 예상한 16명 가운데 7명은 12월을, 4명은 10월을 각각 실행일로 내다봤다. 또 내년 3월은 2명, 4월 인상은 1명이 관측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 조사에 응한 스탠다드차타드의 토머스 코스테르그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지난 7월 미 의회 증언 이후 “(금리 향방에 대해) 눈에 띄게 침묵을 지켜왔다”면서, “최근 금융시장 소요가 커진 점 등이 (연준으로 하여금 금리 인상의) 단기적 기준을 높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BMO 캐피털 마켓의 애런 콜리 금리 전략가는 블룸버그에 “(연준 금리 정책이) 금이 간 유리와 같다”면서, “(결국, 깨지겠지만 지금으로서는) 어떻게 균열이 커질지를 예측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로이터는 이와 관련, 미국의 8월 소비자 물가가 예상 외로 전달보다 0.1% 하락한 것으로 16일 발표돼, 연준을 더 혼란스럽게 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지난 7월은 전달보다 0.1% 상승했다.

WSJ는 투자자가 이제는 연준이 장기적으로 저금리 구도를 유지할 것이란 쪽으로 관심을 옮겨가고 있다고 17일 보도했다.

따라서 연준이 이번에 금리를 인상할지에 이전만큼 노심초사하지 않는 모습이라고 덧붙였다.

블루베이 자산운용의 마크 다우딩 선임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저널에 “연준이 매우 천천히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시장이 확신하기 때문에, 첫인상에 (이전만큼) 초조해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우딩은 따라서 투자 관망세도 거둬질 것이라면서, 자신이 최근 몇 주 우량 회사채 매입을 늘린 것도 이런 판단에 입각한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골드만 삭스의 로이드 블랭크페인 최고경영자(CEO)는 16일 WSJ 주최 뉴욕 조찬에서 연준의 금리 인상에 시장이 아직 충분히 준비돼 있지 않다고 경고했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안심귀가·안전지원 사업의 실효성 제고와 근본 개선 촉구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4)은 지난 5일 열린 여성가족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시민의 안전한 귀갓길과 범죄예방을 위해 추진 중인 주요 사업들의 재정사업 평가 ‘미흡’과 저조한 이용률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근본적인 개선 없이 사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신 의원은 안심귀가스카우트 사업이 2023년에 이어 2024년 재정사업 평가에서 연속으로 ‘매우 미흡’ 등급을 받았음에도 활성화 노력은 미비하고, 오히려 예산과 인력만 대폭 축소되고 있는 상황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안심귀가스카우트는 여성, 청소년 등 범죄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한 귀가 지원서비스로 사업 예산은 2022년 37억원에서 2025년 12억원으로 줄었으며, 2026년 예산안은 그 절반 수준인 6억원으로 책정되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카우트 대원 인원 역시 2024년 334명에서 점차 줄어 2026년에는 60명으로 더 축소될 계획이다. 신 의원은 “60명의 인원으로 25개 구의 안전 귀가 서비스를 어떻게 소화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고 말하며, 단순히 예산을 줄이고 인원을 축소하면서 자치구와 재원 분담을 추진하는 것은 사업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 책임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안심귀가·안전지원 사업의 실효성 제고와 근본 개선 촉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