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비정규직 20%, 생활고로 식사 횟수 줄였다”

“日 비정규직 20%, 생활고로 식사 횟수 줄였다”

입력 2016-01-18 10:11
수정 2016-01-18 1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에서도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이 40%를 넘나들 정도로 고용의 질이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에 일본 비정규직 근로자 가운데 20% 정도가 생활고 때문에 하루 식사 횟수를 줄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8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일본 노동조합 중앙조직인 렌고(連合)가 파견 등 비정규직 근로자가 생계를 주로 담당하는 가구 가운데 20% 정도가 생활고 때문에 끼니를 줄이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담당자는 “일하는 방식(정규직, 비정규직)의 차이가 삶의 근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조사는 작년 10월 인터넷으로 실시했다. 수도권과 중부, 관서지방 총 12곳의 도(都)·부(府)· 현(縣)에 살면서 시간제나 파견, 계약직으로 민간기업에서 일하는 20~49세의 남녀 2천여명이 응답했다.

조사결과 생활고 때문에 지난 한해 동안 허리띠를 졸라맨 것에 대해 복수응답으로 물어본 결과 ‘식사 횟수를 줄였다’가 20.9%나 됐고, ‘(아파도) 의사의 진료를 받지 못했다’와 ‘세금이나 사회보험료를 지불하지 않았다’가 각각 13%였다.

자신이 가계 수입의 절반 이상을 버는 비정규직 노동자는 33.9%였다. 이 가운데 52.7%가 가구 저축에 관하여 ‘없다’ 혹은 ‘100만엔(약 1천만원) 미만’이라고 답했다.

응답자 가운데 미혼은 전체의 53.5%였고, 남성은 89.6%에 달했다. 연봉이 낮을수록 그 비율이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정규직을 희망해도 일자리가 없기 때문에 파견 등에서 일하는 ‘비자발적 비정규직’은 32.3%이 였다.

조사 결과에 대해 렌고 측 담당자는 “임금 인상 외에도 기업이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