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새 의회 내일 개원…아웅산 수치 시대 개막

미얀마 새 의회 내일 개원…아웅산 수치 시대 개막

입력 2016-01-31 10:45
수정 2016-01-31 1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치 ‘대통령 위의 지도자’로 실권행사…차기 대통령 ‘안갯속’

반세기 군부통치의 막을 내린 미얀마가 ‘민주화 영웅’ 아웅산 수치 여사 주도로 새롭게 출범한다.

지난해 11월 총선을 통해 구성된 새로운 미얀마 의회는 다음 달 1일 수도 네피도에서 개원식을 갖고 공식 출범한다.

총선에서 상하원 전체 의석(군부할당 166석 포함 664석)의 59%에 해당하는 390석(하원 255석, 상원 135석)을 확보한 수치 여사의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은 여당으로서 정국 주도권을 쥐게 된다.

과반 의석을 확보한 NLD는 또 의원들이 참여하는 ‘대통령 선거인단’ 투표를 통해 어려움 없이 대통령을 선출, 오는 3월 30일 테인 세인 대통령의 퇴임 이후 새 정부를 출범시킨다.

수치 여사는 외국 국적의 남편과 아들 때문에 군부가 만든 현행 헌법조항 때문에 당장 대통령이 될 수 없지만, ‘대통령 위의 지도자’로서 실권을 행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새 의회 출범은 50년 이상 이어져온 ‘군부 시대’를 완전히 청산하고 진정한 의미의 ‘문민 시대’를 맞이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1962년 네 윈의 쿠데타로 시작된 미얀마의 군부 시대는 2011년까지 장장 50년간 이어졌다.

2010년 불공정 논란이 일었던 총선을 통해 구성된 의회가 이듬해 문을 열었지만, 의석의 80%는 군부와 한몸인 통합단결발전당(USDP)이 차지했다. 또 군부는 문민시대 개막을 천명했지만, 이후 5년간 미얀마를 통치한 대통령은 물론 각료도 대부분 군부출신이었다.

반면 이번 의회에서는 수치 여사의 NLD가 다수당, USDP는 상원 11석, 하원 30석을 보유한 소수 야당이다. 헌법상 보장된 군부 의석도 상원 56석, 하원 110석에 불과하다.

일각에서는 군부에 의한 또 다른 정변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그러나 최근 군부 출신 테인 세인 대통령과 민 아웅 흘라잉 군 최고사령관은 평화적 정권이양을 지지하겠다고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물러나는 군부 출신 의원들도 NLD 의원들에게 ‘의정 수업’을 통해 노하우를 전수하는 한편 ‘가라오케 파티’로 새 의회 출범을 축하하는 등 과거와는 분위기사 사뭇 다르다.

다만, 군부가 여전히 내무부와 국방부 등 주요 부처를 장악한 채 군대와 경찰, 국경수비대 등 공권력을 통제할 권한을 쥐고 있다는 점이 여전히 긴장 요인으로 남아있다.

정국 주도권을 쥔 수치는 미얀마 정치 시스템에 남아 있는 이런 군부 잔재를 뿌리뽑아 민주주의의 기틀을 잡고, 군부통치기 서방의 제재 등으로 침체에 빠졌다가 최근 되살아나기 시작한 경제를 활성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수치는 당장 헌법을 고쳐 군부 잔재 청산을 서두르기보다 시간을 두고 군부와 협의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또 독립 이후 60여년간 이어져온 내전 수준의 민족분쟁 역시 수치의 미얀마가 풀어야 할 우선순위 과제 가운데 하나다. 이 밖에 본격적인 문민시대를 맞아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올 국민들의 다채로운 요구도 해소해야 한다.

한편, 수치 시대의 미얀마 정부를 대표할 차기 대통령의 윤곽은 아직 안갯속이다.

일부 외신들은 NLD 창당 멤버이자 후원자로 미얀마 국민의 존경을 받는 틴 우(90), 수치 여사와 15년 가택연금 기간 주치의로 교감을 나눠온 틴 미오 윈(64) 등을 유력한 후보로 보고 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