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시진핑 중심 1인 권력체제로 전환…집단지도체제 사실상 종언

中 시진핑 중심 1인 권력체제로 전환…집단지도체제 사실상 종언

이슬기 기자
입력 2016-02-18 14:10
수정 2016-02-18 14: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 AFPBBNews=News1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 AFPBBNews=News1
중국의 정치체제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을 ‘영도핵심’으로 하는 ‘1인 권력체제’로 대전환됐다는 점을 중국언론이 처음으로 확인했다.

이는 덩샤오핑(鄧小平) 시대 이후 수십 년 간 유지됐던 집단지도체제(복수의 당정치국 상무위원들이 권력을 분점하는 통치체제)가 사실상 끝났다는 점을 시사한다.

중국 관영매체 기자들이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정치 관련 뉴미디어인 ‘학습소조’(學習小組)는 18일 “지난달 29일 소집된 당 정치국 회의에서 처음으로 정치의식, 대국(大局)의식, 핵심의식, 정렬(看齊)의식 등 ‘네 가지 의식’이 제기됐다”고 보도했다.

또 ‘정치의식’, ‘대국의식’은 자주 등장했던 표현이지만, ‘핵심의식’과 ‘정렬의식’은 최근 유행하게 된 표현이라며 그 의미를 자세히 풀이했다.

이 매체는 우선 ‘핵심의식’과 관련, “중국은 현재 ‘중진국 함정’(경기침체 등으로 인한 성장 정체현상)과 ‘투키디데스의 함정’(패권을 가진 대국과 신흥대국은 충돌한다는 뜻으로, 미중 패결대권을 의미)이라는 두 개의 난제에 직면해있다”며 “지혜롭고 (난제를) 감당할 수 있는 ‘영도핵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핵심’이라는 용어는 덩샤오핑(鄧小平) 전 중국 최고지도자와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 집권 시절 ‘덩샤오핑(장쩌민)을 핵심으로 하는 당 중앙’처럼 최고지도자를 묘사하는 데 사용됐다.

학습시보는 이어 “지난 3년간 시 주석이 이끄는 새로운 지도집단이 보여준 중국통치에 대한 업적과 성과는 매우 눈부시다”며 “그 중 중요한 원인은 시 주석이 주동적으로 (각종 업무를 직접) 짊어지고, 중국정치의 구조를 리모델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앞으로 몇 년 간 중국의 통치와 변혁은 그 어려움이 크고, 책임도 클 것”이라며 “이전의 그 어떤 시기에 비해서도 ‘영도 핵심’을 굳게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렬의식’과 관련해서는, 소련 공산당이 정치 분열과 이데올로기의 분열 등으로 멸망했다고 거론하며 ‘(당중앙과 시 주석으로의) 집중·통일’, ‘중앙의 강력한 권위’를 ‘정렬의식’의 주요요소로 강조했다.

이 매체는 당 지도부가 저우융캉(周永康) 전 정치국 상무위원 겸 정법위원회 서기 등을 제거한 이유 중 하나는 “그들이 당내 통일단결을 훼손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하고 중국통치와 중국변혁을 위해서는 “기득권을 지닌 이익집단을 깰 수 있는 (중앙의) 권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근 중화권 매체들이 새해들어 중국공산당 내에서 ‘시허신’(習核心)이라는 표현이 등장했다고 전하며 중국정치가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다는 분석을 제기한 바 있지만, 중국 매체가 시 주석을 ‘영도핵심’으로 표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 주석은 취임 후 중앙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 중앙국가안전위원회 등 거대 권력기관을 신설해 직접 지휘하고 있으며 기존의 당 권력기구들도 ‘직할체제’로 전환하며 ‘독주체제’를 가속해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