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캘리아 美대법관 장례식 엄수 수천명 애도…오바마 불참 논란

스캘리아 美대법관 장례식 엄수 수천명 애도…오바마 불참 논란

입력 2016-02-21 10:20
수정 2016-02-21 1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트럼프 “오바마, 장례식이 모스크에서 열렸다면 참석했을까” 비판

‘보수파의 거두’로 불려온 앤터닌 스캘리아(79) 미국 연방 대법관의 장례식이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바실리카 국립대성당에서 거행됐다.

바실리카 국립대성당은 지난해 9월 말 프란치스코 교황이 방문해 미국 내 첫 미사를 집전한 역사적 장소다.

이날 오전 11시부터 2시간가량 진행된 장례식에는 존 로버츠 대법원장과 이념적으로 대척점에 있으면서도 끈끈한 우정을 쌓은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대법관 등 동료 대법관과 전·현직 의회 지도자, 조 바이든 부통령 내외를 비롯한 정부 고위 인사, 일반인 등 수천 명이 참석했다.

그의 유력한 후임 후보군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는 인도계 스리 스리니바산(48) 연방항소법원 판사도 모습을 드러냈다.

공화당 대선 경선 주자인 테드 크루즈(텍사스) 상원의원은 이날 경선 3차 관문인 사우스캐롤라이나 프라이머리(예비선거) 투표가 진행되는 중요한 날인데도, 시간을 내서 부인 하이디와 함께 직접 참석해 각별한 애도를 표시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전날 스캘리아 전 대법관의 시신이 임시 안치됐던 연방대법원 강당을 찾아 조의를 표했으나, 이날 장례식에는 불참했다.

고인의 아들인 폴 스캘리아 목사는 추모 예배에서 “아버지는 하느님을 사랑하는 것과 조국을 사랑하는 것, 또 자신의 믿음과 공직에 봉사하는 것 사이에는 아무런 이해충돌이나 갈등이 없다는 점을 잘 알고 있었다. 믿음이 깊으면 깊을수록 더 좋은 시민이 되고 더 훌륭한 공복(公僕)이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며 부친의 죽음을 애도했다.

스캘리아 전 대법관은 독실한 가톨릭교도다.

장례식이 끝난 후 스캘리아 전 대법관의 시신을 실은 운구 차량은 고(故) 윌리엄 렌퀴스트 대법원장을 비롯해 역대 대법관들이 많이 안치된 버지니아 주(州) 알링턴 국립묘지가 아니라 제3의 장소로 향했다. 이는 유족들의 결정에 따른 것으로, 장지는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다.

이날 장례식이 진행되는 동안 바실리카 국립대성당 밖에서는 스캘리아 전 대법관의 생전 판결에 대해 항의하는 시위가 열리기도 했다. 시위대는 “하느님이 당신의 판결을 판결할 것이다”, “하느님은 당신의 우상을 증오한다”는 등의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1986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재임 시절에 연방대법관으로 지명된 스캘리아 전 대법관은 상원의 만장일치를 거쳐 사상 첫 이탈리아계 미국인 대법관에 이름을 올렸으며 그동안 총기 소지와 사형 제도 존치 등을 옹호하고 동성애와 낙태에는 반대하는 등 강경 보수의 목소리를 내왔다. 텍사스의 고급 리조트를 방문해 잠자리에 들었다가 지난 13일 오전 숨진 채로 발견됐다.

한편, 오바마 대통령의 장례식 불참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진보 진영의 오바마 대통령이 보수주의자 스캘리아 전 대법관의 장례식에 불참함으로써 초당파적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후임 대법관 지명 문제를 놓고 ‘신속하게 지명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오바마 대통령과 ‘차기 대통령에게 넘겨야 한다’는 공화당이 정면으로 충돌하는 상황에서 공화당을 비롯한 보수 진영의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트럼프는 이날 트위터에 “만약 장례식이 모스크(이슬람사원)에서 열렸다면 오바마 대통령이 참석했을지 궁금하다”고 꼬집으면서 “그가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은 것은 매우 슬픈 일”이라고 비판했다.

미 온라인매체 ‘더 블레이즈’는 소셜미디어 공간에 올라온 비판론자들의 발언을 소개하면서 오바마 대통령의 장례식 불참 배경에는 인종과 종교, 정치가 복잡하게 뒤엉켜 있다고 분석했다.

폭스뉴스의 진행자 숀 해너티는 앞서 오바마 대통령의 불참을 강력히 비난하면서 “오바마 대통령이 너무 바빠서 참석할 수 없는 장례식 명단이 여기 있다”고 비꼬기도 했다.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서울시의회 이종배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제333회 정례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설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지나치게 길어지고 있다”며 “서울시가 조기 착공을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올해 7월 투자심사에서 주민편익시설 보완 요청이 있었던 것은 이해하지만, 설계 변경 작업이 과도하게 지연돼서는 안 된다”면서 “기본설계가 이미 상당 부분 마무리된 만큼, 수정 설계에 박차를 가해 상반기 착공이 가능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문화본부장은 “투자심사에서 주민시설 보완과 복합화 요구가 제기돼 이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설계 변경이 필요했다”며 “배관·배선 등 세부적인 구조까지 재조정해야 하는 만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답변을 들은 이종배 의원은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는 물리적 제약으로 상반기 착공이 어렵다고 하지만, 시민들의 기대가 큰 만큼 최대한 빠르게 착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이 의원은 “동대문 시립도서관은 당초 공연·전시 등 문화복합 기능 중심이었으나, 투자심사 의견 반영으로 주민 교육·편익시설이 추가되며 기능이 확장된 것
thumbnail -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