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뉴저지 기차역 돌진 열차, 속도저감장치 PTC 장착안해

美뉴저지 기차역 돌진 열차, 속도저감장치 PTC 장착안해

입력 2016-09-30 02:15
수정 2016-09-30 02: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방교통안전위원회, 사고 조사 착수

29일(현지시간) 미국 뉴저지 주 호보컨 역에서 100여 명이 부상하는 충돌사고를 낸 통근열차는 미 정부가 권장하는 속도저감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NBC방송 등 미국 언론들은 뉴욕 주 스프링 밸리를 출발해 이날 오전 8시 45분 호보컨 역에 도착하면서 사고를 일으킨 1614호 열차에는 속도제어시스템인 PTC(positive train control)가 설치돼 있지 않은 상태였다고 보도했다.

미국 연방교통안전위원회(NSB)는 사고 현장에 조사관을 보내 승강장 진입시 감속하지 않은 배경 등 사고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이 시스템은 열차의 속도를 모니터하고 있다가 과속 시 속도를 자동으로 줄여주는 안전장치다.

사고 열차의 승객들은 기차가 승강장으로 들어서면서 속도를 줄이지 않았다고 진술하고 있다.

뉴저지 대중교통수단을 운용하는 ‘NJ 트랜짓’은 PTC 시스템을 2018년 12월 말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이 때문에 이 회사에서는 현재까지 PTC 시스템의 사용을 훈련받은 직원이 없었다고 NBC방송은 전했다.

앞서 2015년 미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서 탈선해 8명의 사망자를 냈던 암트랙 열차에도 이 장치가 장착되지 않아 논란이 된 바 있다.

미국에서 1969년 이래 145건의 철도사고로 288명이 사망하고 6천574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되는 가운데 교통 당국은 PTC가 활용됐다면 피해 규모가 훨씬 줄었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 장치는 원래 2015년 12월 31일까지가 설치 기한이었으나, 각 주의 교통 당국이 미 의회를 상대로 연장을 요구하는 바람에 3년 미뤄졌다.

연합뉴스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구 제4선거구)은 지난 1일 서울시립아동힐링센터(동대문구 답십리로69길 106) 개소식에 참석, 서울시의 아동에 대한 심리·정서 공공치료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와 환영의 뜻을 전했다. 서울시 아동양육시설 내 전체 아동 1591명 중 약 43%에 해당하는 679명이 정서적·심리적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센터 개소는 공공 차원의 본격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는 ADHD, 우울, 외상 경험 등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입소 치료를 제공하며,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놀이치료사 등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치료 종료 후 아동은 원래 생활하던 양육시설로 귀원하거나, 재입소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축사에서 “서울시아동힐링센터는 단순한 보호시설을 넘어, 상처 입은 아동의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길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어 “서울시가 정서적 돌봄을 제도화하고, 전문가의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