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환상의 짝꿍’ 연준-시장…금리 올려도 시장은 환호

[美 금리인상] ‘환상의 짝꿍’ 연준-시장…금리 올려도 시장은 환호

입력 2017-03-16 11:12
수정 2017-03-16 1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문가 “연준, 순조로운 시장 분위기 타고 기회주의적인 금리 인상”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금융시장이 보기 드물게 화목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준이 15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방기금 금리를 종전보다 0.25% 포인트 인상한 0.75∼1.00%로 결정한 이후 미국 뉴욕 증시는 일제히 1% 가까이 상승 마감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불과 지난해만 하더라도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기만 해도 시장은 얼어붙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12월에는 연준이 금리를 올리고 2017년에도 총 3회에 걸쳐 인상하겠다고 밝히자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가 0.8% 하락 마감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연준이 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하고 올해 총 3회 인상하겠다는 입장을 되풀이했음에도 오히려 S&P 500지수는 0.8% 상승 마감했다.

이는 연준의 3월 금리 인상이 충분히 예견된 사안이었는 데다가 올해 금리 인상 횟수 전망이 시장 예상보다 적게 집계된 것이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이번 금리 인상의 간단한 메시지는 바로 미국 경제가 잘 돌아가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한 것처럼 시장은 이제 금리 인상을 미국 경제 호조의 신호로 풀이하고 있다.

WSJ은 이 같은 움직임을 놓고 “연준과 투자자들이 현재 행복한 한 쌍”이라고 표현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이 시장 분위기에 올라탔다고 평가했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스의 롭 마틴과 마이클 게이픈 이코노미스트는 “FOMC가 순조로운 금융시장 여건을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며 “기회주의적인 금리 인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연준과 시장의 밀월관계가 오래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미국의 올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1%라고 예상했지만, 시장은 이보다 더 견조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투자자들의 기대가 맞아떨어진다면 연준은 물가상승률 억제를 위해 현재 계획보다도 금리를 대폭 인상해야 하는 상황에 부닥칠 수 있다.

반대로 연준의 예상대로 미국 경제 성장률이 2.1%에 그친다면 지금 증시는 버블 상태인 셈이 된다.

어느 쪽이든 연준과 시장의 친밀한 관계는 지속하지 않을 것이라고 WSJ은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