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긴장고조속 美 핵폭발탐지전문 WC-135기 日 배치

한반도 긴장고조속 美 핵폭발탐지전문 WC-135기 日 배치

입력 2017-04-13 09:40
수정 2017-04-13 09: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성조지 “오키나와 가데나기지에 도착 대기 중” 보도…日 소식통도 확인

북한의 6차 핵실험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이 대기 중의 방사성 물질을 탐지해 핵실험 여부를 판단하는 특수정찰기 WC-135 ‘콘스턴트 피닉스’(Constant Phoenix)를 오키나와에 배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군 기관지 성조지는 미 공군 소속 WC-135기 한 대가 7일 저녁 오키나와 가데나(嘉手納) 공군기지에 도착했다고 12일 보도했다.

성조지는 가데나기지의 미군기 움직임을 관측해온 구바 사토루라는 주민을 인용, WC-135기의 도착 사실을 전했다. 그는 활주로에 대기 중인 이 특수정찰기 사진을 증거로 보여줬다.

이에 대해 가데나기지를 관할하는 미 공군 제18 항공단 대변인과 일본 방위성 측은 확인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그러나 익명을 요구한 자위대 소식통은 니케이 신문에 WC-135기의 일본 도착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에 도착한 WC-135기의 기체번호를 확인할 결과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기 시작한 지난달에는 일본이 아닌 영국의 밀던홀 공군기지에 임시 배치된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외신은 지난달 24일 미 공군이 WC-135 한 대를 일본에 배치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미 공군은 2006년 10월 북한이 실시한 1차 지하 핵실험 때부터 지난해 9월 5차 핵실험 때까지 보유 중인 두 대의 WC-135기 가운데 한 대를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파견해 방사성 물질 수집 등의 활동을 해왔다.

이 특수정찰기는 동체 옆에 달린 엔진 형태의 대기 표본수집 장비로 방사성 물질을 탐지한다. 정찰기 내 대기성분 채집기 내부 온도를 영하 50도 이하로 낮추면 공기 중의 핵물질이 달라붙는다.

핵폭발 과정에서 원자가 인공적으로 깨지면서 방출되는 크세논(크세논·Xe-135)과 크립톤(Kr-85), 세슘(Cs-137) 등의 방사성 물질을 수집한 후 측정, 핵실험 여부는 물론 농축우라늄 폭탄인지, 플루토늄 폭탄인지를 구분한다.

미국은 또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전 폭발사고 당시에도 WC-135기 한 대를 급파해 지원활동을 했다. 보잉 707 여객기와 유사한 C-135 수송기와 EC-135C 전자전기의 변형기인 WC-135는 시간당 최대속도가 648㎞, 최대상승고도가 12㎞로 통상 33명의 승무원과 전문분석 요원이 탑승한다.

탑재된 장비는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패트릭 공군기지의 공군기술적용센터 파견 요원들이 운용한다. 미 공군은 현재 서부 네브래스카주 오푸트 공군기지의 제45 정찰비행단에 WC-135기 두 대를 배속시켜 운영 중이다.

한미 당국은 북한이 김일성 주석의 105돌 생일(태양절·4월 15일), 북한군 창건기념일(4월 25일) 등을 전후해 6차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