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본 대지진 쓰나미에 해양생물 300종 북미로 이동”

“동일본 대지진 쓰나미에 해양생물 300종 북미로 이동”

입력 2017-05-10 14:58
수정 2017-05-10 14: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일본대지진 당시 일본 근해에 있던 300종의 해양생물이 쓰나미에 휩쓸려 북미와 하와이까지 흘러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0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환경성 의뢰를 받아 캐나다의 ‘북태평양해양과학기관’이 지난 2014~2016년 사이 관련 조사를 벌인 결과, 번식력이 강한 게와 불가사리를 포함해 다양한 해양생물이 북미와 하와이로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결과는 아오모리(靑森) 현 인근에서 미국 오리건 주 주변 해상에 떠다니던 길이 20m의 표류물과 부표 등 모두 600점을 분석한 끝에 도출됐다.

조사에서 발견된 해양생물 중에는 다른 지역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쳐 국제자연보호연합이 ‘침략적 외래종’으로 지정한 아무르불가사리, 번식력이 강한 게 종류 등이 포함됐으며 북미 서해안에서는 현지에 서식하지 않는 23종의 조류도 확인됐다.

북태평양해양과학기관의 제임스 T. 칼튼 미국 윌리엄스대학의 명예교수는 해당 해양생물이 “북미 태평양 연안에 사는 해양생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계속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문은 “(해양생물의) 번식 상황은 아직 알 수 없다”면서도 현지 생태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지적했다.

동일본대지진 발생 다음 해인 2012년 이후부터 미국 오리건 주나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등에서는 쓰나미에 의한 표류물이 확인되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