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비 낼 때까지 퇴원 못해” 가봉 신생아 엄마와 다섯달 생이별

“치료비 낼 때까지 퇴원 못해” 가봉 신생아 엄마와 다섯달 생이별

임병선 기자
입력 2018-02-14 07:36
수정 2018-02-14 09: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BBC 홈페이지 캡처
BBC 홈페이지 캡처
안녕하세요. 전 아프리카 가봉에서 ‘베이비 앤젤(Baby Angel)’로 불리는 신생아입니다.

세상에 나온 뒤 다섯 달 동안이나 수도 리브르빌의 개인 클리닉에 강제로 입원해 있어요. 퇴원을 할 수가 없었답니다. 제가 예정일보다 조금 일찍 세상에 나와 35일 동안 인큐베이터에 들어가 지내는 바람에 비용이 적지 않게 나왔는데 엄마가 지불할 능력이 안돼 클리닉이 사실상 절 볼모로 잡고 있었던 것이지요.

이 사실이 알려져 온나라가 발칵 뒤집어졌습니다. 엄마에게 많은 이들의 격려가 답지한 것은 물론이고요. 어른들이 저희 가족을 대신해 모금운동을 펼쳐 제 치료비 3630달러(약 393만원)를 전부 내주셨어요. 알리 봉고 대통령님도 기꺼이 지갑을 열어주셨답니다.

클리닉 책임자 아저씨는 지난 12일(이하 현지시간) 체포되셨다가 하루만에 범죄 혐의를 묻기는 그렇다는 법원의 판단이 내려져 풀려나셨대요.

전 이번주 퇴원 허락이 떨어졌어요. 저희 엄마 소니아 오코메는 13일 영국 BBC와의 인터뷰를 통해 “아이를 되찾게 돼 기쁘지만 다섯 달이나 떨어져 지내는 바람에 젖이 나오지 않아 물릴 수 없어 유감”이라고 달콤쌉싸래한 반응을 보였다. 더불어 제가 어떤 예방백신도 맞지 않은 것에 불만을 표시하셨답니다. 그럼 아쉽지만 여기서 이만. 여러분 모두 잘 지내세요.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