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아리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
마스크 쓰고 주판알 굴리는 북한 어린이들
북한 대외선전매체 메아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속 대면 수업이 재개된 평양교원대학 부속 모란봉구역 개선 유치원 아이들의 모습을 6일 공개했다. 주산 교육을 받는 어린이들이 마스크를 쓴 채로 집중하며 주판알을 옮기고 있다. 2021.5.6
메아리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
메아리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
19일 교도통신이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베이징발 기사에서 백신 공동구매·배분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 측이 북한에 백신 공급 조건으로 접종이 적절하게 이뤄지는지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 요원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북한 측이 접종 대상자 등 상세한 접종 계획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북한은) 코백스 측이 제풀에 꺾여 모니터링 없이 공급해 주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교도통신은 이를 근거로 북한에 대한 구체적인 백신 공급 시기를 전망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노동신문 뉴스1
코로나19 방역하는 북한 근로자들…‘고도의 긴장성’ 강조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5일 전국 각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방역 현황을 전했다. 신문은 ‘고도의 긴장성’을 방역의 필수 조건으로 내세우며 각지 일꾼들이 코로나19 방역을 올해의 중요한 과업 중 1순위로 꼽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봉산은하피복공장의 방역 모습.
노동신문 뉴스1
노동신문 뉴스1
이후 백신 확보가 어려운 빈곤국과 개발도상국의 백신 확보를 돕기 위한 국가들의 지원 프로젝트인 코백스에 지원을 요청했다.
코백스 측은 당초 북한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70만회 접종분을 이달 말까지 공급할 계획이었지만 일단 올해 하반기로 연기했다.
교도통신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라이선스 생산하는 인도가 자국 내의 감염 확산을 이유로 수출을 제한한 상황에서 북한 측의 미온적인 대응이 애초 공급 계획에 차질을 빚은 요인이 됐다고 지적했다.
한편 교도통신은 북한이 감염자가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하지만 이를 두고 회의적인 견해가 많다면서 철저한 이동 제한과 격리를 통해 수도 평양 등으로의 확산을 막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감염 상황이 악화할 경우 북한이 중국산 백신을 도입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다른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국경 봉쇄는 국민 통제를 강화하는 데에도 안성맞춤이다. 백신과 관계없이 봉쇄는 계속될 것”이라고 교도통신은 내다봤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