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재확산’ 중국서 탄저병 환자도 발생

‘코로나 재확산’ 중국서 탄저병 환자도 발생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08-10 16:18
수정 2021-08-10 16: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탄저균.
탄저균.
중국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 중인 가운데 전염성 질환인 탄저병 환자까지 보고됐다.

10일 베이징시 질병예방통제센터에 따르면 허베이성 청더시의 웨이창 만주족·몽골족 자치현에서 베이징으로 이송된 환자 1명이 전날 탄저병 진단을 받았다.

이 환자는 앞서 소·양 등 가축과 접촉 이력이 있으며, 발병 나흘 뒤 구급차를 타고 베이징으로 이송돼 진료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환자는 현재 격리치료를 받고 있으며, 방역 조치를 했다고 당국은 밝혔다.

탄저병은 인간과 동물이 모두 걸릴 수 있는 전염성 질환으로 치사율이 5~20%에 달한다.

감염 초기 24~48시간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으면 치사율이 95%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경우 일반적으로 탄저병에 걸린 동물과 접촉했을 때 이 병에 걸린다.

사람은 피부탄저병 감염이 가장 흔해 전체 감염의 95%를 차지하는데, 이 환자가 걸린 탄저병은 폐탄저병으로 호흡기를 통해 탄저균이 포함된 비말·분진을 흡입했을 때 발병한다.

당국은 “목축업이나 축산업 등에 종사하는 직업군에서 주로 발생한다”면서 “죽거나 병든 가축을 도살하거나 먹으면 안 되며 가축 예방접종을 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정식 검역을 거쳐 시판 중인 소고기·양고기는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면서도 “여행 시 병들거나 죽은 동물을 되도록 접촉하지 말고,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는 등 위생에 주의하면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탄저병은 사람 간에는 인플루엔자나 코로나19처럼 전파되지는 않는다. 탄저균은 세균으로, 페니실린 등 다양한 항생제를 이용해 치료할 수 있다”면서도 “감염이 의심될 경우 즉시 병원에서 진료 받아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