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등 외국기업도 美 반도체 보조금 받아야”

“삼성전자 등 외국기업도 美 반도체 보조금 받아야”

윤연정 기자
입력 2021-12-08 19:25
수정 2021-12-08 19: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 회장 블룸버그 인터뷰
“모든 참여자 혜택받아야 건강한 생태계 조성”
버트런드 로이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회장  SEMI
버트런드 로이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회장
SEMI
미국 내 건강한 반도체 생태계가 조성되려면 반도체 보조금을 한국의 삼성전자 같은 외국기업에도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세계 반도체업계에서 나왔다.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버트런드 로이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회장은 이날 “미국 내 건강한 반도체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 대만의 TSMC나 한국의 삼성전자와 같은 다른 외국기업들도 (미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SEMI는 전 세계 전자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협회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을 포함해 2400여 개 반도체 기업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반도체 산업 연합뉴스
반도체 산업
연합뉴스
로이 회장은 “반도체 산업은 일본, 유럽, 북미, 대만, 중국 등의 여러 회사에 의존하는 고도로 복잡한 생태계”라며 “자국에서 반도체 산업이 번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면 국적에 상관없이 모든 참여 기업이 이런 지원금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외 반도체 제조업체뿐 아니라 반도체 공급망에서 꼭 필요한 역할을 하는 장비 및 재료 공급 업체에도 해당 보조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미국 의회에는 520억 달러(약 61조 51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제조 인센티브 법안’(CHIPS for America Act)이 계류 중이다.

해당 내용의 법안이 아직 의회를 통과하지 않았지만, 반도체 업계에서는 지원 자격을 놓고 설전이 오가고 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반가운 소식을 전했다. 그간 극심한 혼잡으로 주민 불편이 컸던 3324번 버스 노선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근시간대 전용 신설노선 8333번이 12월 중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13일 서울시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은 박 의원은 “오랜 기간 주민들이 겪어온 출근시간대 버스 혼잡 문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며 “신설 노선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을 한결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맞춤버스 8333번은 오전 6시 40분부터 8시 05분까지 총 8회 운행되며, 암사역사공원역–고덕비즈벨리–강일동 구간을 단거리로 반복 운행한다. 출근시간대에 집중되는 승객을 분산시켜 기존 3324번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간 3324번 버스는 평일 12대의 차량으로 운행되며 강일동을 경유해 왔지만, 출근시간대 최대 혼잡도가 160%를 넘어서며 승객 불편과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고덕비즈벨리 기업 입주 증가와 유통판매시설 확대로 승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 노선만으로는 혼잡 완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박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팻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미 납세자의 돈이기 때문에 미국 기업에만 주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류더인(劉德音) TSMC 회장은 수급 대상을 미국 기업에만 한정하는 것은 미국에 “부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