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농경지에 ‘지뢰’ 매설한 러軍…“세계 식량위기 가중”

우크라 농경지에 ‘지뢰’ 매설한 러軍…“세계 식량위기 가중”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2-05-03 15:10
수정 2022-05-03 15: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러시아군이 들판에 남긴 지뢰를 수색하고 있는 우크라이나군. 2022.05.03 AP 연합뉴스
러시아군이 들판에 남긴 지뢰를 수색하고 있는 우크라이나군. 2022.05.03 A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를 전면 침공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농경지에 대규모 지뢰를 매설해 세계 식량 위기가 더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2일(현지시간) 더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러시아군이 퇴각하면서 농경지에 지뢰를 매설하거나 불발탄, 부비트랩 등을 그대로 두고 떠난 탓에 다수의 인명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농경지에 흩뿌려진 러시아군의 지뢰로 인해 세계 식량 위기가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우크라이나 농부들은 지난 2월 말 시작된 러시아군의 침공으로 이미 파종 시기를 놓쳤다. 뒤늦게 경작을 하려고 해도 지뢰 폭발 우려로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크라이나 최대 농업회사 중 하나인 IMC의 알렉스 리시차 회장은 WSJ에 “러시아군이 철수한 북부 체르니히우 근교 3만㏊(서울 면적 절반 수준) 규모의 땅에 해바라기·옥수수 등을 심어야 하지만 지뢰 폭발 우려로 전면 중단된 상태”라며 “올해는 물론 내년까지 농사 중단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근교 농경지의 약 30%가 러시아군이 매설한 지뢰로 인한 위험 지역이란 분석도 나왔다.

우크라이나는 지구상에서 가장 비옥한 흑토지대다. ‘유럽의 빵 공장’이라고 불릴 만큼 밀을 비롯한 곡물이 풍부하게 생산됐지만 러시아의 침공으로 농업 기반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

유엔은 올해 우크라이나의 농업 생산량이 예년보다 20%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우크라이나의 자급자족 능력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 수출에 의존하는 전 세계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