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3번 연속 자이언트스텝 동률이던 한미 금리 다시 역전돼 한은 금리 올려도 정상화 힘들듯 외국자금 이탈 및 물가인상 우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AP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AP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21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했다. 이에 한미 간 금리가 한 달만에 재역전 되면서 자본 유출 등 경제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성명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2.25~2.50%에서 3.00~3.25%로 0.75%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미국 기준 금리는 2008년 1월 이후 14년여만에 가장 높아졌다.
연준이 이례적으로 3번 연속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은 것은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히지 않는다는 판단 때문이다. 실제 지난 13일 8월 소비자물가가 8.3%로 시장 전망치보다 높게 나오면서 이미 예상됐던 조치다.
특히 8월 비농업 일자리(31만 5000개 증가)가 시장 예상을 상회했고 실업률도 3.7%를 기록하면서 노동시장의 안전성이 이번 결정을 뒷받침했다.
이번 금리 인상으로 미국의 기준금리는 한국을 다시 넘어섰다. 지난 7월 미국의 기준금리(2.25∼2.50%)는 약 2년 반 만에 한국(2.25%)을 상회했지만 한국은행이 8월에 0.25%포인트를 인상하면서 양국의 금리는 같아졌다. 하지만 이번에 다시 격차가 0.75%포인트가 벌어지게 됐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 올해 남은 10월, 11월 두 차례 통화정책 방향 회의에서 모두 기준금리를 올린다해도 미국 금리를 따라가기는 힘들 전망이다.
금리 역전이 장기화되면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급격하게 떨어질 수 있다. 또 수입품 가격 인상으로 물가상승을 부추길 우려도 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